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에서도 ‘확률과 통계’를 선택한 문과생이 ‘미적분’ 혹은 ‘기하’를 택한 이과생보다 적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똑같이 모든 문항을 맞혀도 문과생은 이과생보다 최대 5점 낮은 점수를 받는다는 입시업계 분석이 나왔다. 올해 주요 대학에서 늘어난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 학과 입시에서 이과생이 크게 유리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8일 종로학원 분석에 따르면 2025학년도 수능 수학 선택과목인 미적분의 표준점수 최고점은 140점, 기하 138점, 확률과 통계는 135점이다. 표준점수 최고점은 모든 문항을 맞혀 원점수가 만점인 수험생에게 주어지는 점수다. 미적분을 선택한 수험생이 공통과목과 선택과목인 미적분을 전부 맞혔을 때 140점을 받았다는 말이다. 기하의 경우 2점, 확률과 통계는 5점 적은 점수를 받는 것이다.
1등급 인원도 미적분·기하 선택 수험생 비율이 압도적이었다. 종로학원이 수험생 3135명을 대상으로 표본조사한 결과 1등급의 96%가 미적분·기하를 선택한 수험생이었다. 2등급은 74.8%, 3등급은 71.6%, 4등급은 63.6%였다. 수학에서 문·이과가 직접 경쟁하는 ‘통합형 수능’이 2022학년도에 도입된 이후 줄곧 이어져 온 흐름이다. 이과생이 수학 점수의 우위를 이용해 문과 상위권 대학에 지원하는 이른바 ‘문과 침공’이 나타난 배경이다. 특히 올해는 교육부가 2학년 때 전공을 결정하는 무전공 입학을 대폭 확대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2025학년도 무전공 선발 중 계열 구분 없이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유형 1’은 문과생에게 상당히 불리한 구도다. 정시 지원 전략 시 고려할 요소”라고 내다봤다.
이도경 교육전문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