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대표는 이날 오전 예정에 없던 긴급 최고위원회의를 소집해 “윤 대통령이 대한민국의 대통령직을 계속 수행할 경우 이번 비상계엄과 같은 극단적인 행동이 재연될 우려가 크고 그로 인해 대한민국과 대한민국의 국민들을 큰 위험에 빠뜨릴 우려가 크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 대표는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하면서 주요 정치인 체포 및 수감을 지시한 정황과 여전히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 점 등을 판단을 바꾼 이유로 제시했다.
한 대표는 이날 오후 한남동 관저를 찾아가 윤 대통령을 만난 이후에도 입장을 바꾸지 않았다. 한 대표는 면담 이후 열린 의원총회에서 “대통령으로부터 제 판단(대통령 직무집행 정지)을 뒤집을 만한 말을 듣지 못했다”고 밝혔다. 면담은 한 대표 발언이 공개된 이후 윤 대통령이 먼저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정작 윤 대통령은 한 대표에게 탄핵 관련 본인의 입장이나 거국내각 구성, 임기단축 개헌 등 여권 안팎에서 거론되는 다른 대안에 대해 아무런 언급이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한 대표의 입장 선회로 전날까지 부결 가능성이 컸던 탄핵소추안 표결의 결론은 가결 쪽으로 움직이는 모습이다.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은 재적의원 3분의 2(200명) 이상의 찬성이 필요하다. 108명의 국민의힘 의원 중 8명이 ‘탄핵반대’ 대오에서 이탈하면 통과가 가능하다. 이날까지 조경태·안철수 의원이 탄핵 찬성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혔다. 앞서 지난 4일 새벽 비상계엄 해제 표결에서는 친한계 의원 등 18명이 참여해 전원 찬성표를 던진 바 있다. 다만 친한계 의원들 사이에서도 탄핵을 두고는 찬반 입장이 엇갈리고 있어 7일 본회의에서 찬성표가 추가로 얼마나 나올지는 여전히 안갯속이다.
민주당은 한 대표의 입장 선회로 생긴 기회의 틈을 최대한 비집고 들어간다는 방침이다. 이 대표는 “이 중대한 역사적 국면에서 여야 대표가 국가와 국민을 맨 우위에 두고 책임을 다하는 것이 어떤 것인지를 의논해야 마땅하다”며 한 대표에게 탄핵안 표결 전 회동을 제안했다. 이 대표는 또 여당 의원들의 표결 단체 불참 방안이 거론되는 데 대해 “국회의원이 투표장을 못 들어가게 막는 행위는 이번 내란 행위의 연장선에서 벌어지는 일”이라고 경고했다. >> 관련기사 2·3·4·5면
정현수 정우진 이동환 이강민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