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면직 후 직무 대리를 맡은 김선호 국방부 차관은 6일 서울 용산 국방부에서 브리핑을 열어 “만약 (2차) 계엄 발령에 관한 요구가 있더라도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는 이를 절대 수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 차관은 이와 함께 군에 비상계엄 관련 원본 자료를 보관할 것을 지시하고, 폐기·은폐·조작 행위를 금지했다. 향후 진행될 수사에 적극 협조하겠다는 뜻이다.
지난 3일 국회 등에 계엄군을 투입했던 곽종근 특수전사령관과 이진우 수도방위사령관도 “2차 계엄은 없다”고 말했다. 곽 사령관은 이날 경기도 이천의 사령부를 찾아온 김병주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유튜브 인터뷰에서 “우선 그럴 일(2차 계엄)이 없다고 분명히 말씀을 드린다. 설사 그런 지시가 있더라도 그건 거부하겠다”고 잘라 말했다.
이진우 사령관도 “참모장이 총기는 휴대하지 않는 게 좋겠다고 건의해서 저도 타당하다고 봤다”라며 “(국회) 현장에서 보니 사람들이 너무 많았다. 총기와 탄약을 가지고 갔지만, 모두 차량에 두고 빈 몸으로 수행하라고 지시했다”고 말했다. 그가 지휘한 수방사 군사경찰특임대는 국회 본청 외곽 경계를 담당했다.
두 사령관은 특히 작전 수행 도중 윤 대통령에게 직접 전화를 받은 사실을 털어놨다. 이 사령관은 “윤 대통령이 (전화를 걸어) ‘거기 상황이 어떠냐’고 물으셔서 ‘굉장히 복잡하고 우리 인원이 이동할 수도 없다’고 답했다”고 말했다. 곽 사령관 역시 윤 대통령의 전화를 받아 “이동 중”이라고 보고했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이날 두 사령관과 여인형 방첩사령관을 직무정지하고 각기 다른 부대로 분리 배치했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