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장원(사진) 국정원 1차장이 6일 국회에서 신성범 정보위원장과의 면담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면담에 배석했던 김병기 민주당 의원이 밝혔다. 면담에는 조태용 국정원장도 동석했다.
홍 차장 보고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지난 3일 계엄 선포 약 2시간 전인 오후 8시20분쯤 홍 차장에게 직접 전화를 걸었다. 홍 차장은 이 전화를 놓친 뒤 8시22분 윤 대통령에게 전화를 걸었다. 윤 대통령은 이때 “한두 시간 뒤 중요하게 할 이야기가 있으니 잘 대기하라”고 지시했다고 한다. 대통령의 전화는 오후 10시53쯤 다시 걸려왔다.
김 의원은 “윤 대통령이 계엄 선포 직후 홍 차장에게 전화해 ‘이번 기회에 다 잡아들여 싹 다 정리해. 국정원에도 대공수사권을 줄 테니 우선 방첩사령부를 도와 지원해. 자금이면 자금, 인력이면 인력, 무조건 도우라’고 지시했다고 홍 차장이 말했다”고 전했다. 김 의원은 홍 차장 휴대전화에 기록된 윤 대통령과의 통화 기록도 공개했다.
홍 차장은 이후 여인형 방첩사령관에게 전화해 대통령 지시 사항을 전달했고, 여 사령관은 체포 대상자들을 불러주며 검거를 위한 위치 추적을 요청했다. 홍 차장은 이 체포 명단에 우 의장과 한 대표, 이 대표 및 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김민석 최고위원·정청래 법제사법위원장,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 방송인 김어준씨, 김명수 전 대법원장, 권순일 전 대법관 등이 올랐던 것으로 기억했다.
김 의원은 “여 사령관이 ‘1차, 2차 검거를 순차적으로 할 예정이며, 방첩사 내 시설에 구금해 조사할 예정’이라고 홍 차장에게 얘기했다”는 주장도 했다. 다만 홍 차장은 ‘미친 X이구나’, ‘말이 안 된다’고 생각했다고 한다.
이후 조 원장과 국정원 1·2·3차장, 기조실장 등 국정원 수뇌부 회의가 열렸고, 이 자리에서 “대통령이 방첩사와 잘 협조하라고 얘기했다” “한동훈, 이재명을 잡으려고 한다”는 보고가 올라왔지만, 조 원장은 “내일 아침에 얘기하자”는 언급만 했다는 게 홍 차장의 설명이다.
홍 차장은 지난 5일 조 원장이 윤 대통령의 ‘즉시 경질’ 지시를 전하자 사직서를 제출했다. 이날 오전 이임식까지 마쳤지만 조 원장은 사직서를 반려했다고 한다. 홍 차장은 “대통령이 노발대발하면서 경질하라고 했다는 얘기를 복수의 출처에서 들었다”고 주장했다고 김 의원은 전했다.
그러나 조 원장은 기자들과 만나 “이번 비상계엄과 관련해 대통령이 국정원장에게 정치인을 체포하라는 지시를 전혀 한 적이 없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제가 아는 한 대통령은 1차장과 (그런 통화를 할 정도로) 개인 친분이 없다”고 말했다. 홍 차장의 인사 조처 배경에 대해서는 “오로지 제 판단으로 (대통령에게) 건의하고 인사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은 정치인 체포조 운영과 관련해 “포고령에 근거해 정치인들에 대한 위치 확인을 지시한 건 있지만, 체포 지시를 내리진 않았다”는 입장을 언론에 밝혔다.
최승욱 이동환 기자 applesu@kmib.co.kr
최승욱 이동환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