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조인 출신 맞나” “황당 자책골”… 후배 검사들도 한숨

입력 2024-12-06 00:36
더불어민주당 김용민 원내정책수석, 노종면 원내대변인이 5일 국회 의안과에 ‘내란 행위 특별검사 수사 요구안’을 제출하고 있다. 이한형 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사태를 두고 검찰 내부에서 ‘대형 자책골’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크다. 비상계엄 선포 요건과 포고령 내용에 위헌·위법성이 짙다는 측면에서 “법조인 출신이 맞는가”라는 지적도 나온다. 이 사태로 검사 탄핵 대응 등에서 검찰의 운신 폭이 좁아졌다는 평가가 많다.

윤 대통령과 근무 인연이 있는 한 특수통 검사는 5일 계엄 사태에 대해 “참 당황스럽고 착잡했다”며 “법률가 출신 대통령이라면 법을 준수해야 했다”고 말했다. 이 검사는 “이제 퇴진이나 탄핵의 길로 들어섰다. 그 시기를 본인이 앞당긴 것 같다”고 언급했다.

계엄 선포가 요건 및 절차적 정당성을 지키지 못했고, 정당활동 금지 등 헌법에 위배되는 측면이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한 부장검사는 “21세기 대한민국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인지 의심했다”며 “법적으로는 국회에 군을 투입한 게 가장 큰 문제다. 이것 때문에 탄핵으로 갈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한 검찰 고위 간부는 “대통령도 법조인 출신이니 법을 검토했을 텐데 판단과 결정의 근거가 뭔지 이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과거 윤 대통령을 보좌했던 기획통 출신 변호사도 “황당하기 그지없다. 이번 사안 자체는 법률적으로 허용되는 행위가 아니었다”며 “직권남용에 충분히 해당할 수 있다. 결국 특검으로 갈 수밖에 없는 사안”이라고 말했다. 한 공안통 검찰 간부는 “더불어민주당 때문에 나라 운영을 못 하겠다는 마음은 이해하지만 계엄을 하는 건 아니지 않나”라고 했다.

윤 대통령의 계엄 선포가 탄핵 사태를 맞은 검찰을 더 곤혹스럽게 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날 국회에선 이창수 서울중앙지검장 등 검사 3명 탄핵안이 통과됐다. 또 다른 부장검사는 “검사 탄핵이 무리한 부분은 있었으나 이번 사태로 반발 입장을 내기도 모호해졌다”며 “대통령이 대형 자책골을 넣었다”고 지적했다.

검찰이 더 큰 타격을 입을 것이란 우려도 나왔다. 한 부장검사는 “애초에 검사 탄핵은 김건희 여사 수사로 촉발된 것 아닌가”라며 “이번 계엄으로 검찰이 입을 타격이 상당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지방의 한 평검사는 “이러다가 진짜 검찰이 문을 닫는 것 아닌가 걱정된다”며 “(대통령이) 김 여사 문제로 검찰의 신뢰도를 깎더니 이제는 하다 하다 계엄인가”라고 지적했다.

수도권의 한 차장검사는 “검찰 출신 대통령으로 인해 검찰 조직이 너무 큰 피해를 보고 있다”며 “검찰이 대응할 수 있는 게 없고, 큰 파도에 막 휩쓸려 다니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박재현 김재환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