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 노동조합이 6일부터 총파업에 돌입하겠다고 예고했다. 파업이 이뤄질 경우 서울지하철 1~8호선 구간의 배차 간격이 늘어나게 돼 시민들의 불편이 예상된다.
공사 제1노조인 민주노총 소속 서울교통공사 노조와 ‘MZ노조’라 불리는 제3노조인 올바른노조는 5일 서울시와 공사 측이 수용 가능한 안을 제시하지 않는다면 다음 날 첫차부터 파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제2노조인 한국노총 소속 서울교통공사 통합 노조는 쟁의행위 안건이 찬반 투표에서 부결되며 파업에 참여하지 않는다. 공사에는 전체 인원의 약 60%를 차지하는 1노조를 비롯해 2노조(16.7%), 3노조(12.9%)가 있다.
사측은 1·3노조와 이날 서울 성동구 본사에서 본교섭을 진행했다. 노조는 임금 인상과 신규 채용 확대 등을 요구했다. 1노조는 임금 인상률로 6.6%를, 3노조는 7.1%를 요구했지만 사측은 정부 지침에 따라 2.5%를 제시했다. 막판 협상이 결렬되면 노조는 2022년부터 3년 연속 파업에 들어가게 된다.
시는 시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가능한 모든 대체 교통수단을 투입할 방침이다. 우선 시내버스 343개 일반노선의 출퇴근 집중 배차 시간대를 평소보다 1시간씩 연장하기로 했다. 또 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에 요청해 많은 택시가 거리에 나올 수 있도록 운행을 독려했다.
시는 파업 미참여자와 협력업체 직원 등 평시 80% 수준의 인력 1만3000명도 확보했다. 공사 측은 “대체인력을 투입해 지하철 1~8호선은 출근 시간대 100% 정상 운행할 계획”이라며 “퇴근 시간대에도 2호선과 5~8호선은 100% 정상 운행한다”고 밝혔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