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철도노동조합(철도노조)이 5일부터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한다. 정부와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파업으로 예상되는 출·퇴근 대란에 대비해 비상수송체제를 가동한다.
철도노조는 5일 첫 열차 운행 시점부터 파업을 시작한다고 4일 밝혔다. 노조는 이날 오후 코레일 서울본부 대강당에서 사측인 코레일과 막판 교섭을 벌였지만 끝내 타협점을 찾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서울역, 부산역 등 전국 5곳에서 출정식을 열고 파업에 돌입할 예정이다. 노조는 그동안 임금체불, 기본급 인상, 신규노선 인력충원 등을 요구해왔다. 철도노조 파업은 지난해 9월 이후 1년 3개월 만이다.
코레일은 파업 기간 수도권 전철과 고속철도(KTX)가 각각 평시 대비 약 75%, 67% 수준으로 운행될 것으로 예상한다. 운용인력은 평시의 60% 수준인 1만4861명으로 떨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이용수요가 많은 점을 감안해 출·퇴근시간대 수도권 전철 운행률은 90% 이상을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파업에 대비해 이날 오전부터 정부합동 수송대책본부를 가동했다.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철도 파업 대비 관계기관 수송대책 점검 회의에서 “고속·광역버스, 택시, 국내선 항공기 등 가용할 수 있는 모든 대체 교통수단을 최대한 투입하라”고 주문했다.
코레일은 24시간 비상대책본부 운영 등으로 이용객 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특히 이용객이 많은 출·퇴근 시간대 수도권 전철과 KTX 열차에는 열차운행 횟수를 최대한 확보할 예정이다. KTX 관계자는 “운전 경력이 있는 내부 직원 및 외부인력 등 동원 가능한 자원을 투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코레일은 또 출퇴근 시간대 전동열차 혼잡이 예상되는 주요 43개 역에 질서유지 요원 187명을 배치한다.
정부는 이번 코레일 노사 교섭 결렬에 깊은 유감을 표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국민 불편을 가중하는 파업 계획을 철회하지 않는 철도노조에 깊은 유감”이라며 “지금이라도 파업계획을 철회하고 노사 간 대화를 재개해달라”고 말했다.
세종=김혜지 기자 heyj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