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야당은 비상계엄을 선포했다가 국회에 막혀 해제한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며 총공세에 나섰다. 윤 대통령의 하야를 압박하는 동시에 비상계엄 책임자 내란죄 고발, 관련 상임위원회 현안질의, 규탄집회 등 쓸 수 있는 모든 카드를 즉각적으로 꺼내들었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4일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야5당이 공동으로 개최한 ‘윤석열 대통령 사퇴촉구·탄핵추진 비상시국대회’에서 “(윤 대통령은) 무력을 동원한 비상계엄 조치가 실효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순간 국지전이라도 벌일 것”이라며 “북한을 자극하고 휴전선을 교란해 무력 충돌로 이끌 위험이 상당히 크다”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또 “장갑차를 막고, 자동소총 앞에서 맞서 싸운 여러분이 없었다면 어떻게 이 몰염치한 정권의 친위 쿠데타 내란 행위를 막을 수 있었겠느냐”며 “국민이 이 나라의 주인이라는 사실을 여러분 스스로 증명하고 계시다”고 말했다.
야당 인사들은 윤 대통령 호칭에서 ‘대통령’을 생략한 채 강경 발언을 쏟아냈다.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는 “윤석열은 우리 헌법에서 규정한 내란의 우두머리”라며 “즉각 대통령직에서 물러나야 하며, 수사기관은 윤석열을 즉각 수사해야 한다”고 외쳤다.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는 “윤석열은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중대한 범죄를 저지른 범죄인의 한 명일 뿐”이라며 “심지어 전쟁 시작 버튼을 누를 수 있는 사람”이라고 직격했다.
민주당은 안규백 의원을 실장으로 하는 ‘계엄 상황실’을 꾸리기로 했다. 이 대표는 “계엄에 대한 정확한 정보 분석이 필요하고, 앞으로도 정보를 분석·취합할 필요가 있어 직접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안 의원은 “(계엄군이 체포하려 한) 의원·시민단체 10여명 리스트를 추적해볼 것”이라고 말했다.
조국혁신당과 개혁신당은 윤 대통령과 김용현 국방부 장관을 내란죄 등으로 경찰청 국사수사본부와 서울중앙지검에 고발했다. 국회 국방위원회와 행정안전위원회는 5일 비상계엄 선포 전모를 규명하기 위한 긴급 현안질의도 진행할 예정이다.
독일에 체류하던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또 다시 서울의 봄 비극이 되풀이돼선 안 된다”며 즉각 귀국 의사를 밝혔다. 5일 오후 4시15분 인천공항을 통해 귀국할 예정이다. 김동연 경기지사도 “윤 대통령은 ‘탄핵 대상’이 아닌 ‘체포 대상’이라고 날을 세웠다.
한편 조국 대표는 비상계엄 사태 수습 등을 이유로 대법원에 오는 12일로 예정된 자신의 업무방해·청탁금지법 위반 등 혐의 상고심 선고기일 연기 신청서를 제출했다.
이동환 기자 hu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