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외신들은 3일 밤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소식을 긴급 타전했다. 여러 매체가 관련 기사를 홈페이지 톱뉴스로 배치하고 진행 상황을 발 빠르게 업데이트해 한국 국회가 4일 새벽 본회의를 열어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을 통과시킨 것까지 보도했다. 미국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는 “상황을 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한국 정부와 연락하고 있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 당국자는 “놀랐다”며 “윤 대통령이 낮은 지지율을 어떻게 극복할지 주목해 왔지만 이런 방법으로 나올지는 생각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미국과 유럽, 일본, 중국 등의 주요 매체는 국회 직원들과 계엄군이 대치하고 심야 서울 상공에 군용 헬기가 비행하는 등 계엄령 선포 이후 상황을 서울발 속보로 쏟아냈다. 특히 로이터통신은 “1980년대 이후 민주적이라고 여겨온 한국에 큰 충격파를 던졌다”고 평가했다. AP통신은 “이번 조치가 국가의 거버넌스와 민주주의에 미칠 영향은 아직 불명확하다”고 진단했다.
미국 주요 일간지들은 홈페이지 최상단에 윤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 기사를 배치하고 ‘실시간 업데이트 뉴스’로 다뤘다. 뉴욕타임스는 “한국에서 계엄령이 선포된 뒤 정부와 시위대가 충돌했다”며 “윤 대통령은 의회를 장악한 야당과 지속적으로 대치해 왔다”고 전했다. 워싱턴포스트는 “한국 대통령은 ‘야당이 북한에 동조한다’고 말했다”며 “윤 대통령은 2022년 취임 후 낮은 지지율로 어려움을 겪어 왔다”고 짚었다.
일본에서도 한국 상황이 긴급 기사로 다뤄졌다. NHK는 “윤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는 내년 예산안 국회 심의에서 야당의 반발에 대한 대응으로 보인다”면서 “비상계엄 선포는 잘못된 것”이라는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의 말도 함께 전했다.
교도통신은 “지난달 임기의 절반을 통과한 윤 대통령의 지지율이 20% 전후로 저조해 사태를 타개하려는 목적도 있어 보인다”며 “최근 윤 대통령의 연루가 의심되는 정치 브로커 사건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고조됐다”고 분석했다. 특히 윤 대통령의 담화에서 ‘반국가 세력’에 대해 “구체적으로 무엇을 지칭하는지는 명확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아사히신문은 “한국 언론도 곤혹스러워하며 윤 대통령의 발언을 전했다”고 보도했고, 마이니치신문은 “앞으로 어떤 조치를 구체적으로 취할지는 불분명하다”고 전했다.
BBC는 “윤 대통령은 부인을 둘러싼 스캔들에 휩싸여 있으며 야당은 감사원장 등 정부 주요 인사에 대한 탄핵 움직임을 보였다”고 배경을 설명하며 “한국에서 계엄령 선포는 1979년 박정희 대통령 암살 이후가 마지막”이라고 짚었다.
신화통신과 CCTV 등 중국 언론들도 한국 상황을 긴급 뉴스로 전했다. 중국 최대 포털 사이트인 바이두에서 ‘한국 비상계엄’ ‘한국 국회 출입문 통제’ 등의 키워드가 한때 검색어 최상위에 올라 중국인들의 높은 관심을 반영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한국인의 99%가 계엄령에 반대할 것”이라는 한국 교수의 발언을 전했다. 영국의 정치 분석가 크리스토퍼 블랙번은 SCMP에 “윤 대통령은 수개월 동안 무력하고 방향을 찾지 못하는 것으로 보였다”고 말했고, 하쉬 팬트 킹스칼리지런던 국제관계 교수는 “한국 같은 나라에서 비상사태가 선포되는 것은 극히 이례적인 일”이라고 지적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