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오후 11시를 기해 비상계엄령이 선포되자 정부도 긴박하게 움직였다. 국방부와 경찰 등 주요 정부 부처와 기관들은 일제히 긴급회의를 열고 비상 대기 태세에 돌입했다. 비상계엄 선포가 극비리에 진행되면서 정부 부처 관계자들이 한밤에 청사로 복귀하는 등 혼란이 빚어지기도 했다.
국방부는 밤 11시19분 부로 김용현 장관 지시로 국방부내 전체 인원을 비상 소집했다. 전군 주요지휘관 회의가 열렸고, 전군에 비상경계 및 대비태세 강화 지시를 내렸다. 국회가 계엄 선포 약 2시간30분 만에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을 가결했지만, 국방부는 윤 대통령의 별도 지시가 있을 때까지 계엄사령부를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경찰청도 긴급 간부 회의를 소집하고, 전국 시도청장에게 정위치 근무를 지시하는 등 비상체제 돌입했다. 다만 이번 계엄과 관련해 구체적인 지침을 받지는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경찰청은 4일 오전 1시 을호비상을 발령했다. 대규모 집단사태나 테러·재난 등이 발생해 치안 질서가 혼란해졌거나 징후가 예견될 때 발령되는 경계 등급이다. 경찰관의 연차휴가가 중단되며, 가용 경찰력 50% 이내에서 동원할 수 있다. 서울경찰청 기동단은 기동단 전 직원 출근을 지시했다.
행정안전부와 외교부 등 다른 부처들도 잇따라 긴급회의를 열었다. 이상민 행안부 장관은 긴급간부회의를 열고 “행안부 공무원들은 동요하지 말고 차질 없이 업무를 수행해 달라”고 당부했다.
비상계엄 선포 이후 ‘4일 등교 여부’에 대한 질문이 잇따르자 교육부는 4일 0시53분 출입기자단에 ‘모든 업무와 학사 일정은 정상운영한다’고 전했다. 과거 비상계엄 때는 휴교령이 내려진 사례가 있었다.
김판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