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의 씀씀이가 줄어든 것이 소비 회복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높은 주거비와 불안정한 고용 상황으로 소비가 위축된 만큼 연령별 1인 가구에 대한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은행은 3일 ‘최근 1인 가구 확산의 경제적 영향 평가’ 보고서를 통해 1인 가구의 평균소비성향이 2019년에서 2023년 사이 5.8%(0.78→0.74)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어 3인 가구 -4.3%(0.69→0.66), 2인 가구 -2.5%(0.71→0.69), 5인 이상 가구 -1.8%(0.77→0.76), 4인 가구 -0.5%(0.74→0.73) 순이었다.
1인 가구의 소비가 가장 크게 위축된 반면 지난해 전체 가구에서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35.5%로 가장 높다. 팬데믹 이후 청년과 고령층을 중심으로 빠르게 증가 추세다. 1인 가구의 소비지출 비중도 10년 새 크게 불어 전체 소비지출의 약 20%를 차지하고 있다.
1인 가구의 경제적 영향력은 커졌지만 이들의 소득·자산·고용형태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기준 1인 가구의 균등화소득(개인소득 단위로 보정)은 2606만원으로, 전체 가구 평균(3950만원)보다 34.0% 낮았다. 균등화순자산도 1억6000만원으로 전체 가구(2억8000만원)의 59.0% 수준이었다. 일자리는 단순·임시직 비중이 높았다.
한은은 내수기반 강화를 위해서라도 1인 가구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팬데믹 이후 지속된 주거비 상승과 생활비 부담 증가 등이 이들의 소비심리를 위축시키고 있어서다. 특히 청년층 1인 가구는 주거비 부담, 고령층 1인 가구는 고용 안정성 측면에서 더욱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1인 가구의 주거·소득·고용 안정이 긴요한데 정책 대응 측면에서는 연령대별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며 “청년층 가구에는 높은 주거비 부담 해소를 위한 주거 안정 대책이 절실하며 고령층 가구에는 열악한 소득과 고용 문제를 해결하려는 빈곤 대책이 우선돼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김준희 기자 zuni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