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연구로 올해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제프리 힌턴(사진) 캐나다 토론토대 명예교수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취임 이후 AI 안전성 정책이 후퇴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트럼프는 AI 안전성 평가를 의무화한 조 바이든 대통령의 행정명령을 폐지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힌턴은 10일 보도된 요미우리신문 인터뷰에서 “(트럼프는) AI 기업이 자유로운 규범을 만들도록 용인할 것”이라며 “안전한 AI 개발이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 AI 기업들이 안전성 연구에 1% 수준의 역량을 할애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안전성 연구 투자를 30배로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구글에서 퇴사한 뒤 AI의 위험성을 적극 알리고 있는 힌턴은 챗GPT를 개발한 오픈AI에 이어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 등 미국 첨단 기업들이 AI 개발에 뛰어드는 데 대해 “군비 확장 경쟁을 방불케 한다”면서 “영리를 추구하는 기업이 경쟁하면 안전성은 후순위로 밀린다”고 우려했다.
힌턴은 AI 발전으로 의료 분야에서 오진이 절반으로 줄고 신약 개발이 활성화되는 등 긍정적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도 “AI가 만드는 일자리보다 빼앗는 일자리가 더 많을 것”이라며 실업 증가와 빈부 격차 확대 등 부작용을 우려했다.
힌턴은 인간을 능가하는 지능을 가진 AI가 20년 안에 등장할 확률이 50% 이상이며, 이르면 5년 이후에 등장할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AI가 인류를 지배할 가능성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경고했다. 또 중국이 AI 분야에서 10년 안에 미국을 추월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