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기업 10곳 중 7곳은 내년 투자 계획이 아예 없거나 아직 세우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 계획이 있더라도 올해보다 규모가 감소할 것이란 응답이 증가 대비 배 이상이었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을 조사한 ‘2025년 500대 기업 투자계획’ 결과를 3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응답 기업 122곳 중 56.6%는 ‘내년도 투자 계획을 아직 수립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투자 계획이 없다’는 응답은 11.4%였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계획 미정’은 6.9% 포인트 증가했고 ‘계획 없음’은 6.1% 포인트 늘었다. 반면 계획을 수립한 곳은 32%로 지난해보다 13% 포인트 감소했다. 투자 계획이 미정인 기업들은 조직개편·인사이동(37.7%), 대내외 리스크 영향 파악 우선(27.5%), 내년 국내외 경제 전망 불투명(20.3%) 등을 이유로 들었다.
투자 계획을 수립한 기업 중에서는 투자 규모를 올해보다 축소하는 경우(28.2%)가 확대하는 경우(12.8%)보다 배 이상 많았다. 지난해 조사에선 ‘투자 확대’(28.8%)가 ‘축소’(10.2%)보다 많았다. 투자 규모를 줄이거나 아예 계획이 없는 이유로는 내년 국내외 부정적인 경제 전망(33.3%), 국내 투자 환경 악화(20.0%), 내수시장 위축 전망(16.0%) 등이 꼽혔다.
투자 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으로는 금융지원 확대(21%), 세제지원 강화(16.9%), 지배구조 및 투자 관련 규제 완화(15.3%) 등 순으로 응답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기업이 투자 계획을 조속히 수립할 수 있도록 금융·세제지원 등 과감한 인센티브로 적극적인 투자를 유인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임송수 기자 songst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