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에서 열린 플라스틱 국제 협약 관련 회의가 끝내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2일 폐막했다. 플라스틱 ‘생산 감축’ 조항을 둘러싼 각국의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최종 협상은 내년으로 미뤄지게 됐다.
환경부 등에 따르면 지난달 25일부터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유엔 플라스틱 협약 제5차 정부 간 협상위원회(INC-5)’는 종료 시한을 하루 넘긴 2일 오전 3시에 폐막했다. 루이스 바야스 발비디에소 INC 의장은 “완전한 합의를 막고 있는 소수의 쟁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려면 시간이 더 필요하다”며 “추후 5차 협상위(INC-5.2)를 재개해 협상을 마무리 짓기로 했다”고 밝혔다.
앞서 국제사회는 2022년 유엔환경총회에서 플라스틱 오염 종식을 위한 법적 구속력 있는 협약을 2024년까지 제정하기로 합의했다. 부산 회의는 이 협약을 도출하는 마지막 협상의 장이었다. 파리협정을 잇는 중요한 환경협약 중 하나로 ‘부산 협약’이 탄생할 것이라는 기대도 있었다.
쟁점은 1차 폴리머(플라스틱 원료)의 생산 감축이다. 사우디아라비아 등 산유국은 생산 규제 자체를 절대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반면 100여개 국가는 생산 감축 지지 의사를 밝혔다. 회의가 난항을 겪으면서 일각에선 만장일치가 아닌 다수결로 협약을 결정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발비디에소 INC 의장은 원활한 논의를 위해 지난달 29일 생산 감축 조항이 완전히 빠진 ‘옵션1’과 감축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옵션2’를 넣은 ‘4차 비공식 문서’를 제시했다. 지난 1일에는 ‘5차 비공식 문서’도 제안했다. ‘옵션2’ 조항에 들어가는 단어를 ‘감축’ ‘유지’ ‘관리’ 등으로 세분화해 선택지를 넓힌 제안문이었지만 당사국들은 끝내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환경단체들은 국제사회가 외교적 노력을 더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린피스는 “INC는 플라스틱 오염으로 가장 큰 피해를 입는 지역사회의 목소리를 최우선으로 반영해야 한다”며 “소수의 국가와 화석연료 및 석유화학 업계가 대다수 국가의 노력을 가로막는 일이 다시는 일어나선 안 된다”고 말했다.
세종=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