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귀농인들은 낮은 수익을 견디지 못하고 농촌을 떠나 다시 도시로 향합니다. 그러나 낮은 수익도 결국 ‘관계’의 문제인 경우가 많습니다.”
청년들의 귀농·귀촌을 돕는 단체 ‘될농’의 김범중(28)씨는 1일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실제 귀농한 청년 3명으로 이뤄진 될농은 지역 소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과 성과를 인정받아 지난 29일 행정안전부 장관상을 받았다.
김씨는 청년 농부의 절반 이상이 3년 정도를 버티다 농촌을 떠나는 걸 보면서 청년 공동체를 만들어야겠다고 결심했다고 한다. 청년이 농촌을 떠나는 이유는 대부분 돈. 현재 귀농 청년에게는 3년간 매달 최대 100만원씩 정부 지원금이 나온다. 이 기간은 근근이 버티지만 지원이 끊기면 생계가 곤란해져 결국 다른 일자리를 찾아 떠나는 것이다.
2022년부터 경남 거창 지역을 중심으로 청년 공동체 활동을 해온 김씨는 재정적 지원만으로는 이들의 정착을 도울 수 없다고 지적한다. 그는 “결국 사회적 관계가 근본적인 문제”라며 “젊은 농부들은 낮에는 농사를 하지만 밤에는 혼자 고립돼 게임에만 몰두하는 등 매너리즘에 빠지는 사례가 많다”고 말했다.
이에 될농은 거창 청년 농부들이 수익을 늘리기 위해 머리를 맞댈 수 있는 구심점을 제공하기 시작했다. 월 1회 식사 자리를 통해 협업 사업을 구상하고, 농사에 대한 조언을 공유한다. 사과 농사를 짓는 한 27살 농부는 올해 될농의 공동체 덕분에 이익이 20% 이상 늘었다고 한다.
김씨는 “사업에 의욕이 없는 친구였지만 플리마켓 참여를 유도해 소비자와 직접 소통하게 했더니 재미를 붙이면서 적극적으로 변했다”고 말했다. 지금은 딸기 농사, 잼 제조 등으로 사업을 확장했다고 한다.
될농이 청년 농부에게 도움을 줄 수 있었던 데는 삼성생명의 ‘부스트 유어 로컬’이라는 청년지업 사원의 도움이 컸다. 이 보험사는 매년 지역 사회 문제 해결에 앞장서는 비영리 청년단체 20곳에 각 5000만원 상당의 사업비와 컨설팅을 제공한다. 될농의 경우 삼성생명 지원으로 농부들이 더 편리하게 모일 수 있는 위치에 사무실을 구했다. 또 모임 비용에 대한 부담 없이 만남을 주선할 수 있었다.
김씨는 “연고가 없는 청년들이 지역에 정착하려면 정밀하고 복합적인 지원이 필요한데, 정부의 정책 지원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국가기관과 현장의 단체들이 협력해 정서적인 기반을 마련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구정하 기자 g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