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의 마음을 얻지 못하면 절대 이길 수 없습니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최근 2030세대 청년당원들과의 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한 대표는 ‘청년 격차 해소’ 차원에서 금융투자소득세 폐지에 이어 가상자산 과세 유예에도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이에 더해 아직 국내에서 걸음마 단계인 토큰증권발행(STO) 법제화에도 힘을 싣는 모습이다.
여권 고위 관계자는 28일 통화에서 “한 대표는 청년층이 자산 형성과 내 집 마련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을 해결하는 데 당력을 집중하겠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청년층이 가상자산 투자 등을 투기로만 보지 않고 재테크 수단으로 여기는 인식을 정치권도 수용해야 한다는 취지다.
한 대표는 지난 26일 서울 홍익대 앞에서 수도권 청년당원 40명과 만나 “확실하게 청년 자산 형성 사다리를 돕고, 그걸 제한하는 규제를 어떻게든 푸는 방향으로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런 측면에서 금투세 폐지를 집요하게 (주장했고), 최근 들어는 가상자산 과세 유예를 강하게 주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STO포럼 조찬 간담회에서도 “‘허용하느냐 마느냐’ 하는 찬반의 단계는 지났고, (이제는) 현실의 문제”라며 STO 제도화에 공감 뜻을 밝혔다. STO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미술품·부동산 등을 토큰 형태로 발행한 것인데, 고액의 실물자산에 대한 소액 투자가 가능해 경제적 여력이 부족한 청년층도 접근성이 높다는 게 특징이다.
한 대표의 청년층 집중 구애는 2030세대의 ‘무당층’ 비율이 다른 연령대보다 월등히 높다는 점도 감안된 것으로 보인다. 한국갤럽의 11월 3주차 조사에 따르면 18~29세 무당층은 45%, 30대 무당층은 41%로 각각 집계됐다. 무당층 비율은 40대 30%, 50·60대 17%, 70대 이상 16%로 연령대가 올라갈수록 떨어진다. 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2030 무당층 지지를 가져오지 못하면 향후 지방선거·대선 등에서 승산이 없다는 건 자명하다”고 말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가상자산 등이 청년층을 위한 ‘안정적인 사다리’가 될 수 있을지 의문이라는 반응도 나온다.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지난 27일 “청년을 위한다면 정당하게 세금을 걷어 교육비를 줄여주고 값싼 주택을 제공하며 임금 격차를 좁히는 사업을 과감하게 벌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 여당 의원은 “현재 가상자산 시장에 투기적인 성격이 강하다는 건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 아니냐”고 반문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