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가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선정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정부는 내년 상반기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따라 특화지역을 공모할 예정이다.
분산에너지는 중앙집중적 에너지 수요공급망 형태에서 벗어나 지역에 자율성을 부여하는 정책이다. 분산에너지가 도입되면 에너지를 인근 수요처에 바로 공급해 소비시킴으로써 송전 비용을 낮추고, 분산에너지 사업자 간 경쟁을 통해 전력시장의 효율성과 전력계통의 안정성을 높여 신재생에너지 공급 여력을 높일 수 있다.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으로 지정되면 전력 생산자와 소비자 간 전력의 직접거래 등 혁신적 제도가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제1호’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으로 지정받으려는 지자체와 기업의 물밑 경쟁이 치열하다.
전남은 풍부한 재생에너지 자원을 보유하고, 전력 자급률이 높아 다양한 분산에너지 사업모델을 구현하는데 유리해 정부가 구상하는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의 롤 모델이자 최적지로 손꼽힌다. 전남도는 그동안 정부의 특별법 제정과 정책 수립 단계부터 참여했다. 지난해 선제적으로 분산에너지 연구에 착수해 전남의 다양한 에너지원과 지역 특성을 반영한 ‘6개 시군 7대 분산에너지 특화지역과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기도 했다.
강상구 전남도 에너지산업국장은 28일 “분산에너지는 에너지분권 실현, 균형발전, 인구소멸 극복의 핵심 열쇠”라며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을 반드시 전남에 유치하는 한편, 재생에너지 4법 제·개정, 다양한 인센티브 발굴을 통해 전력 다소비 기업의 지방 유치를 반드시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무안=김영균 기자 ykk22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