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기독교 접한 강제북송 탈북민들 정치범 수용소 보내”

입력 2024-11-28 18:32
교황청 산하 재단인 '고통받는 교회 돕기(ACN)'가 최근 발간한 '박해받고 잊혔나?' 보고서의 북한편 표지. 보고서는 "북한에서는 기독교를 국가 통치에 위협으로 간주한다"고 지적했다. ACN 보고서 캡처

지난해 강제 북송된 탈북민 중 기독교를 접했던 이들이 정치범 수용소로 보내지는 등 북한의 종교 탄압이 극심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은 28일 “강제 북송된 일반 탈북민들은 비교적 가벼운 처벌을 받았지만 기독교인과 접촉한 사람들은 정치범 수용소에 들어가 사실상 가석방 없는 종신형을 받았다”고 보도했다. 이는 교황청 산하 재단인 ‘고통받는 교회 돕기(ACN)’가 최근 발간한 ‘박해받고 잊혔나?’ 보고서를 기반으로 한 것이다. 보고서는 2022년부터 올해까지 북한을 포함한 18개국에서 일어난 종교 탄압 사례를 분석했다.

보고서는 “지난해 중국에서 송환된 탈북민 가운데 기독교인과 교류한 것으로 밝혀진 사람들은 정치범 수용소로 보내졌다”고 주장했다. 이어 “북한의 국가보위성은 중국 경찰이 제공한 보고서를 바탕으로 탈북민을 심문한다”며 “보고서에 종교와 관련한 내용이 포함돼 있다면 탈북민이 어떤 설명을 하더라도 예외 없이 수용소로 보내진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북한에서 인정되는 유일한 종교는 김일성을 포함한 김씨 가문 일가뿐”이라며 “북한에서는 기독교를 국가 통치에 위협으로 간주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북한은 기독교인이 박해받는 최악의 국가”라며 “기독교를 믿을 경우 관리 대상이 돼 가차 없는 폭력에 시달리게 된다”고 부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기독교를 접했다는 이유로 피해를 본 주민은 9만8000명 정도로 추정된다. 북한 전체 인구의 약 0.38% 수준이다. 전환기정의워킹그룹(TJWG)이 지난달 발간한 ‘북한 강제 실종 범죄 조사’ 보고서에도 북한의 종교 탄압 실상이 등장한다. 보고서는 “북한은 김일성-김정일-김정은의 권력 절대화와 김씨 일가의 우상화 선전을 약화시킬 수 있는 종교 행위를 금지하고 이를 어기는 사람들을 제노사이드에 가깝게 절멸해 왔다”며 “1990년대 이후 국경을 넘나들며 기독교를 접하는 주민이 늘자 북한 당국은 탄압을 배가했다”고 설명했다.

A씨의 경우 양강도 운흥군에서 김일성 초상화를 내려놓고 기도하다가 매복해 있던 보위원들에게 잡혀 실종됐다고 보고서에 나온다. B씨는 양강도 보천군에서 성경을 다른 지역으로 전달하려다 체포됐는데, 열흘 후 그의 어머니도 체포됐다.

앞서 유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권조사위원회(COI) 보고서는 “정치범 수용소로의 강제 실종은 북한 주민이 정권에 복종하도록 공포심을 주는 최종 수단”이라며 “공개 처형과 강제 실종이 북한의 전체주의 체제를 지탱하는 핵심”이라고 지적했다.

박민지 박준상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