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1기 신도시(경기 분당·일산·평촌·중동·산본)에서 가장 먼저 재건축을 추진하는 ‘선도지구’ 13곳이 27일 발표되자 희비가 엇갈렸다. 선도지구 단지 주민들은 ‘노후 아파트 탈출’과 ‘집값 상승’ 기대감을 드러냈고, 탈락한 단지 주민들은 실망감을 내비쳤다.
선정단지 주민들에게 장밋빛 기대만 있는 것은 아니다. 향후 사업 진행 과정에서 분담금 폭탄, 주민·단지 간 이해충돌 등이 수면 위로 떠오르면 갈등이 폭발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상존한다.
경기도 성남 분당 시범현대아파트의 50대 주민 김모씨는 이날 선도지구 선정 소식에 “결과가 많이 궁금했는데 실제 선정이 돼 깜짝 놀랐고 기대감이 크다”고 소감을 말했다. 고양 일산 강촌마을3·5·7·8단지의 장성희 통합재건축 추진준비위원회 위원장도 “저희 집만 해도 누수가 심하고 배관에 화학물질들이 오랫동안 쌓여 악취가 난다. 노후화로 인한 주민 분쟁이 일상인데 주민분들이 빨리 재건축이 되길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선도지구 선정에 탈락한 단지에서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분당 시범한양아파트 인근 한 부동산중개사는 “평소에 전화가 10통 오면 오늘은 40통은 받았다. 실망감이 크신 것 같다”고 했다. 또 다른 시범한양 주민 50대 이모씨는 “주민 단체채팅방에서는 ‘이제 망했다’는 한탄의 목소리를 낸다”고 말했다.
다만 선도지구 주민들도 향후 분담금 폭탄 가능성에 긴장을 놓지 않고 있다. 특히 분당에서는 선도지구 선정 평가점수를 높이기 위해 추가 공공기여와 장수명주택(수명 100년을 목표로 내구성·가변성·수리 용이성을 높인 주택) 인증 등 공격적인 제안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성남시는 세부 평가 기준으로 도시기능 활성화 필요성(배점 15점)에 이주대책 지원, 구역 정형화, 소규모 구역 결합, 장수명 주택 인증, 공공기여 추가 제공 등 가점 항목을 넣었는데 모두 사업성에 영향을 준다.
분당 시범현대 주민 김씨는 “우리 아파트는 은퇴한 어르신들이 많은데 분담금이 과도하게 높아진다면 주민들 간에 갈등이 생길 것 같다”고 말했다.
일산은 낮은 기준용적률이 부담이다. 일산은 기준용적률이 300%로 다른 신도시(분당 326%, 평촌·산본 330%, 중동 350%)보다 낮다. 최대용적률은 450%까지 올릴 수 있지만 기준용적률을 초과하면 공공기여를 늘려야 해 사업성이 떨어진다. 장 위원장은 “고양시가 기준용적률을 300%로 제한한 것이 가장 큰 난관이다. 분담금 및 각종 부대비용이 4억~5억원이라는 시뮬레이션도 있다”며 “고양시와 계속 협상을 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