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가족부는 지난 2월 김현숙 전 장관 사퇴 이후 9개월 넘게 신영숙 차관 직무대행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장관 공석 탓에 여성, 아동, 청소년 등 여가부의 지원 정책이 차질을 빚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신 차관은 취임 11개월을 하루 앞둔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한 국민일보 인터뷰에서 “장관 공석에 대한 우려가 있는 것은 알지만, 업무 공백이 생겼다는 지적에는 동의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여가부는 먼저 협업을 요청해야 하고, 현장에서 일해야 하는 부처”라며 “어느 때보다 더 절실하게 (업무를) 했다고 자부한다”고 강조했다.
신 차관은 주 1~2회 현장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22일에는 신 차관이 부서 직원과 동행하지 않고 서울 관악구에 있는 한 청소년쉼터를 깜짝 방문했다. 집을 떠난 청소년에게 임시 거처를 제공하는 곳이다. 신 차관은 “차관이 연락도 없이 직접 왔다고 하니까 ‘못 믿겠다’는 반응이어서 명함을 주면서 인사를 했다”고 웃었다.
신 차관은 “현장 방문을 예고하면 갖춰진 현장을 볼 수밖에 없어 그대로의 모습을 보기 어려울 때가 있다. 현장은 정책을 폭넓게 이해하고 방향을 만들어내는 데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신 차관은 지난달 고립·은둔 청소년 시설 관계자들에게 자필로 감사 편지를 보내기도 했다.
여가부는 청소년 한부모나 고립·은둔 청소년, 청소년 마음 건강 등 기존에 주목받지 못했던 지원도 올해 본격적으로 확대했다. 그는 “청소년 문제는 ‘사춘기라 그렇겠지’라는 생각에 그냥 두는 경우도 많은데, 사회에서 조기 개입을 하지 않으면 사회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내년 7월부터는 양육비를 받지 못하는 한부모 가정에 월 20만원의 양육비를 선지급하는 제도도 시행된다.
부처 간 협업이 활발했던 것도 여가부 성과로 꼽힌다. 딥페이크 성범죄 대응이나 인구감소지역 청소년 지원 사업 등이 대표적 사례다. 이기일 보건복지부 1차관과 ‘부부 차관’인 신 차관은 지난 7월 위기임산부 상담기관을 이 차관과 함께 찾기도 했다. 신 차관은 “일을 할 때 가족관계를 생각한 적은 없지만, 모든 부처와 빈틈없이 협업하려고 했다”며 “여러 부처의 정보가 모여 정책적 연계를 할 때 더 큰 힘이 생긴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신 차관은 “여가부가 국민을 위해 일할 수 있는 기능에 충실한 조직으로 개선된다면 큰 영광일 것”이라고 말했다.
김유나 이정헌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