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점포 통폐합 가속화… 5년간 1189개 사라졌다

입력 2024-11-26 18:59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습니다. 연합뉴스

최근 5년간 국내은행 점포가 1189개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의 디지털화, 비대면 거래 증가 등을 이유로 가속화된 현상이다. 올해 하반기에도 은행권 대규모 점포 통폐합이 잇따르는 가운데 고령층 등 금융 취약계층을 위한 대책 방안으로 은행권 공동점포 활성화 방안 등이 떠오르고 있다.

2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국내은행 점포는 총 5690개로 최근 5년간 1189개가 사라졌다. 국내 인구 10만명 당 점포 수는 지난해 말 기준 12.7개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15.5개)을 밑돈다.


은행별 점포 축소 계획도 잇따르고 있다. 우리은행은 전날 홈페이지 공지를 통해 내년 1월 6일부터 서울 종로구 세종로금융센터를 비롯한 전국 영업점 21곳을 인근 영업점으로 통폐합한다고 밝혔다. 최근 비대면 거래 비중이 늘어나고, 창구를 직접 찾는 고객이 줄어 영업점을 하나로 합쳐 대형화하겠다는 취지다. 점포 수가 가장 많았던 NH농협은행도 다음 달 38개 영업점(출장소 4개 포함)을 폐쇄하고 인근 영업점과 통합하기로 했다. 신한은행도 양재동금융센터 등 5개 점포를 통합 점포로 개편한다.

이에 따라 금융 취약 계층의 어려움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충북 청주시에 거주하는 60대 오모씨는 “주거래 은행의 점포가 갑자기 문을 닫아 1시간 거리까지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순발력·이해력이 예전 같지 않아 휴대전화나 기계를 이용하라는 건 쉽지 않은 얘기”라며 “은행 점포를 없애면 노인들에게서 모든 정보를 끊는 거나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금융 당국도 심각성을 인지하고 은행권에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특히 은행권에서 시도하다 최근 논의가 중단된 공동점포 활성화 방안 등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이날 금융업계 및 소비자·장애인 단체 등과 만난 자리에서 “소비자들의 금융서비스 접근권리를 보장하는 것은 금융산업이 당연히 수행해야 할 책무”라며 “공동점포 이동점포 같은 다양한 대체수단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은행권은 공동점포에 회의적인 반응이다. 한 점포 내에 여러 은행이 들어오면 시재(은행에 수납된 돈) 관리 부담이 커질 뿐만 아니라 임대료 논의도 쉽지 않다는 점에서다. 은행권 관계자는 “공동 ATM이라면 몰라도 공동점포는 은행 입장에서 특별한 장점이 없다”면서도 “금융 당국이 나서면 보여주기식으로 몇 군데 공동점포가 추가될 수는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준희 구정하 기자 zuni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