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폐업 위기에 내몰린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을 돕기 위해 저리 대출을 제공하는 등의 지원대책을 26일 내놨다. 시는 특별 마이너스통장을 신설해 중저신용 소상공인에게 1인당 1000만원까지 자금을 지원할 방침이다. 또 금융 지원뿐만 아니라 재기 프로그램도 마련해 사실상 폐업 상태에 있는 이들의 새 출발도 돕는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중구 서울시청에서 소상공인 지원책을 체계화한 ‘소상공인 힘보탬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이 프로젝트에는 내년 5356억원이 투입된다. 시는 우선 경기침체 장기화 등으로 위기에 처한 영세 소상공인들에게 신속·간편·장기·저리로 2조1000억원을 지원한다.
긴급 자금 수혈을 위해 신설한 ‘안심통장’이 대표적이다. 안심통장은 2·3금융권으로 내몰린 영세 중저신용 소상공인(신용평점 600점 이상)을 위한 마이너스통장을 뜻한다. 대상자들은 1인당 1000만원까지 비대면 신청을 할 수 있으며 영업일 1일 이내에 승인 처리될 예정이다. 금리는 시중은행 마이너스 대출 평균금리(7.9%)보다 낮은 5% 수준으로 책정됐다.
시는 각종 자금지원 폭도 확대했다. 생계형·중저신용 소상공인(신용평점 839점 이하)을 대상으로 한 ‘신속드림자금’은 지원 대상을 저소득 사회적 약자까지 확장한다. 취약계층지원자금 지원 규모도 5050억원에서 6500억원으로 늘렸다. 또 창업기업자금은 올해보다 650억원 많은 1000억원을 편성했다.
아울러 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는 골목상권을 현재 402개에서 600개를 추가해 2029년 1002개로 늘릴 예정이다. 시는 온누리상품권 발행액 32%가량이 서울 시내에서 결제되는 것을 고려하면 내년에만 약 1조8000억원 규모의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온누리상품권은 내년에만 5조5000억원 규모로 발행된다.
시는 창업, 폐업, 재창업을 반복하는 이른바 ‘회전문 창업’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도 마련했다. 폐업을 앞둔 소상공인에게 전문가를 파견해 폐업부터 사후 관리까지 전 단계에 걸쳐 최선의 선택지를 제공한다. 폐업한 소상공인이 취업을 원한다면 직업훈련과 일자리 알선도 지원하기로 했다.
오 시장은 “소상공인들에게 맞춤형 지원을 제공해 위기를 기회로 승화시켜 나갈 수 있도록 돕겠다”며 “수많은 어려움 속에서도 서울경제의 실핏줄 역할을 하는 소상공인들을 위해 끝까지 힘을 보탤 것”이라고 말했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