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펜타닐 등 중국산 마약을 언급하며 “모든 중국산 제품에 대해 (기존) 관세에 더해 10%의 추가 관세를 매길 것”이라고 25일(현지시간) 밝혔다.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해서도 수입하는 모든 제품에 25%의 관세를 물리겠다고 했다. 취임 당일인 내년 1월 20일 서명할 행정명령 중 하나로 예고했다. 트럼프 당선인이 내각 인선을 마치자마자 초강경 관세 카드를 꺼내든 것이다. 중국과 멕시코, 캐나다는 미국의 3대 무역 파트너로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현실화되면 경제적 파장이 거셀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한국에도 대미 무역 흑자 해소나 방위비 증액 압박을 위해 관세 카드를 사용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트럼프는 이날 트루스소셜에서 “나는 중국과 엄청난 양의 마약, 특히 펜타닐이 미국으로 유입되는 것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나눴지만 아무 소용이 없었다”며 “중국 대표들은 마약 밀매가 적발되면 최고형인 사형에 처할 것이라고 말했지만 안타깝게도 이를 이행하지 않았고, 마약은 주로 멕시코를 통해 전례 없는 수준으로 우리나라에 쏟아져 들어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런 행위가 중단될 때까지 미국으로 들어오는 중국의 모든 제품에 대해 기존 관세에 더해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좀비 마약’으로 불리는 펜타닐은 원재료가 중국에서 대부분 생산되며 멕시코에서 제조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에선 매년 7만5000명이 펜타닐 중독으로 사망할 정도로 사회 문제가 됐다.
트럼프는 또 “수천명이 멕시코와 캐나다를 통해 쏟아져 들어오고 있고 이로 인해 범죄와 마약이 전례 없는 수준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1월 20일 첫 행정명령 중 하나로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데 필요한 모든 서류에 서명하고, 터무니없는 개방형 국경을 폐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관세는 마약, 특히 펜타닐과 모든 불법 외국인들이 우리나라에 대한 침략을 멈출 때까지 유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의 공언대로 공격적 관세 정책이 현실화될 경우 수입 상품 가격이 올라가 인플레이션 등 경제적 파장이 커질 전망이다. 관세 부과 대상 국가가 보복 조치에 나서면 무역전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중국 언론들은 “트럼프가 또다시 관세 몽둥이를 휘두른다”고 일제히 비판했다. 경제매체 재련사는 “트럼프의 망언”이라는 표현까지 사용했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