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태균씨가 조은희 국민의힘 의원의 2022년 재보궐 선거 경선, 오세훈 서울시장의 2021년 재보궐 선거 과정에 각각 관여했다는 의혹이 잇달아 제기돼 사건 파장이 커지고 있다. 폭로전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당사자들은 의혹을 전면 부인하고 있다.
창원지검 전담수사팀(팀장 이지형 차장검사)은 25일 미래한국연구소에서 근무했던 강혜경씨를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강씨는 미래한국연구소가 202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 때 오 시장을 위해 미공표 여론조사를 13회 실시하고, 이를 대가로 오 시장 후원자인 사업가 김모씨가 3300만원을 명씨 측에 줬다고 주장한다.
오 시장 측은 미래한국연구소에서 여론조사 결과를 받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사업가 김씨도 오 시장과는 무관하게 이뤄진 금전 거래였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강씨는 이날 검찰에 출석하면서 “13번 정도 자체 조사가 있었다”며 “본인들(오 시장 측)한테 많이 도움이 됐을 것이고 선거 전략에도 영향을 줬을 것”이라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전날 명씨가 2022년 국민의힘 서울 서초갑 공천에도 관여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민주당이 공개한 녹취록에 따르면 명씨는 2022년 2월 8일 강씨에게 “(조 의원이 경선에서) 과반이 안 넘을 테니 결선 투표에 가면 조은희하고 이혜훈(당시 후보), 그렇게 했을 때 누굴 지지하느냐고 문항을 넣으라”고 지시했다. 민주당은 명씨가 조 의원에게 유리하도록 책임당원 명부를 활용해 여론조사를 진행한 정황이라고 주장했다. 실제 이틀 뒤 실시된 경선에서 과반이 넘는 표를 얻은 조 의원은 서초갑 후보로 선정됐다. 조 의원은 명씨로부터 연락을 받은 건 인정하면서도 “내일모레 경선인데 지금 추세를 알아보는 것이 무슨 의미냐며 거절했다”고 반박했다.
검찰은 명씨가 지인 자녀를 대통령실에 채용시켜주고 돈을 받았다는 의혹의 사실관계도 살펴보고 있다. 강씨는 최근 검찰 조사에서 ‘2021년 7월 경북 지역 사업가 A씨가 미래한국연구소에 2억원을 빌려줬는데 그중 1억원은 자녀 채용 청탁을 위한 대가’라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강씨 측은 A씨 자녀가 미래한국연구소에 근무한 것처럼 허위 경력을 만들어줬다고도 주장했다. 강씨는 이날 ‘명씨가 채용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 아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일단 명씨 본인이 힘썼다고 얘기했다”고 말했다. A씨 자녀는 올해 중순부터 대통령실에서 6급 행정요원으로 일하고 있다. 다만 A씨는 “돈을 빌려준 시기는 윤석열 대통령이 입당도 하기 전이었는데, 누구에게 취업 청탁을 한단 말이냐”며 부인하고 있다.
김재환 기자 j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