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가 KTX오송역 선하공간에 소규모 회의와 토론 등이 가능한 복합문화공간 조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도는 오는 29일 오송역 B주차장에 들어설 복합문화시설(조감도)의 첫 삽을 뜬다고 25일 밝혔다.
내년 2월 완공이 목표다. 당초 내달 준공 예정이었지만 국가철도공단의 철도보호지구 행위신고 승인이 늦어지면서 착공이 한 달 정도 연기됐다.
철도공단은 전문가자문회의 의견을 설계와 시공 등에 반영해야한다는 조건부로 오송역 선하공간 개발을 지난 21일 승인했다. 철도공단은 오송역 선하공간 개발이 국내 첫 사례인 만큼 전문가 의견이 반영되어야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철도안전법에 따라 철도 좌우 30m가 철도보호지구로 지정돼 있다. 철도시설을 파손하거나 철도차량의 안전 운행을 저해할 우려가 있는 행위는 신고를 해야 한다.
도는 오송역에 37억1500만원을 들여 연면적 765.3㎡ 규모의 홍보·전시·회의 기능을 갖춘 도정 홍보 전시관을 짓는다는 구상이다. 주차장 위와 철로 아래의 빈 공간에 지상 3.6m 높이의 기둥을 세우고 그 위로 2층 필로티 구조의 건축물을 세우는 방식이다.
오송역은 최대 높이 18m 폭 300m 길이 3.2㎞에 달하는 세계 최대, 최장의 선하공간을 보유하고 있다. 높이 18m의 콘크리트 기둥 수십 개가 철로를 연결하고 있다.
도는 철로를 떠받치고 있는 콘크리트 기둥에서 2m 정도 양쪽으로 띄어서 철재 구조물을 설치하는 방식이라 철도 운행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경부선과 호남선이 갈라지는 국내 유일의 고속철도 분기역인 오송역은 지난해 11월 연간 이용객이 사상 처음으로 1000만명을 돌파했다. 하루 평균 3만명 이상 이용하고 있어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도는 오송역의 뛰어난 교통 접근성을 활용하면 서울역 스마트워크센터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도는 우선 철로 아래 방치됐던 주차장 위의 빈 공간부터 활용한다. 경제성 등 사업 타당성을 분석한 뒤 선하공간 개발을 점차 확장한다는 방침이다.
김영환 지사는 “최근 영국과 오스트리아의 선하공간을 직접 둘러보면서 성공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현대적인 구조물을 활용해 충북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선하공간을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오송역 유휴공간을 활용하는 업사이클링 사업 추진으로 새로운 공간을 창출하는 것”이라며 “충북의 관광·문화 등 풍부한 자원을 홍보할 수 있는 창구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