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수소 산업 육성을 위해 수소특화단지 지정 및 수소도시 구축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24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1일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제7차 수소경제위원회’(수경위)를 열고 강원 동해·삼척시와 경북 포항시를 국내 첫 수소특화단지로 지정했다.
동해·삼척은 기체수소보다 상대적으로 안전하고 저렴한 액화수소의 저장·운송에 특화된 도시로 조성한다. 정부는 총 3177억원을 투입해 동해에 수소 저장·운송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한국가스공사 삼척 액화천연가스(LNG) 인수기지 인근에 수소액화플랜트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포항은 연평균 20%대 성장세가 기대되는 수소연료전지 특화단지로 만든다. 2028년까지 1918억원을 들여 연료전지 강소기업 30여개사가 입주할 공간을 만들고, 부품·소재 100% 국산화 등을 추진한다. 특히 수도권 기업이 특화단지로 이전할 경우 지원금을 2% 가산해 지급하고, 산업 용지에 대해서도 수의계약을 허용하는 등 혜택을 제공한다.
정부는 또 전국 12개 도시를 ‘수소도시’로 지정하고 2040년까지 해당 도시의 에너지 수요 10%를 수소로 충당한다는 방침이다. 7차 수경위는 앞서 시범도시로 선정된 울산시와 전북 전주·완주, 경기 안산 등 3곳에 이어 ‘12대 수소도시’로 경기 평택·남양주·양주시와 충남 당진·보령·서산시, 전북 부안과 광주 동구, 전남 광양, 울산, 경북 포항·울진을 선정했다.
정부는 2040년까지 탄소 발생량이 적거나 아예 없는 블루·그린수소 생산 비중을 50%로 확대하고, 수소배관 280㎞를 확충해 도시 내 수소 인프라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또 수소연료를 사용하는 트램 등 수소 교통 인프라도 마련하기로 했다. 한 총리는 “수소의 생산·유통·활용 등 전반적인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정책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정부 관계자는 “국내 수소 산업의 기술 수준도 미국 등 주요국을 꾸준히 추격하는 상황”이라며 “국내 여건에 맞는 수소 생태계를 조성해 탄소 중립 및 글로벌 경쟁에 대응하겠다”고 설명했다.
세종=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