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여자프로골프투어(이하 KLPGT)가 해외에서 2부인 드림투어 대회를 개최한다고 한다.
내년 1월 24일부터 26일까지 사흘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위치한 다마이 인다 골프클럽 BSD코스에서 열리는 KLPGA 2025 드림투어 인도네시아 여자오픈과 2월 13일부터 2월 15일까지 사흘간 필리핀 마닐라 소재 골프장에서 열릴 예정인 KLPGA 2025 드림투어 필리핀 레이디스 마스터즈다.
이 대회는 KLPGA 김정태 회장이 회장직을 수행하고 있는 아시아골프리더스포럼(이하 AGLF)과 KLPGT가 아시아 태평양 서킷(APAC Circuit·이하 APAC 서킷) 시리즈 투어 개최에 대한 협약 체결로 성사됐다. 드림투어가 해외에서 열리는 건 이번이 KLPGA 역사상 최초라는 게 협회 측의 설명이다.
글로벌 투어를 지향하는 KLPGA투어가 1, 2부 가리지 않고 해외 스폰서를 구해 대회를 개최되는 건 쌍수를 들어 환영할 만하다. 하지만 그것이 공정성과 형평성을 담보하지 못해 특혜 시비에 휘말린다면 얘기는 달라진다. 이번 2개 대회는 그럴 개연성이 다분하다.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다. 먼저 출전 선수 선정 방식이다. 인도네시아 대회 출전 선수는 총 120명, 필리핀 대회는 134명이다. 그중 드림투어 카테고리는 두 대회 모두 50명씩이다. 50명은 올 시즌 드림투어 상금 순위 21~50위까지 30명, 그리고 내년 KLPGA투어 시드전 탈락자 상위 20명으로 채워진다.
드림투어는 1년에 3~4차례가량 시드전을 치른다. 시드전 대상자는 이번 대회에 출전하는 21~50위 선수 등 사실상 풀시드권자를 제외한 300명 이상의 선수들이다. 그럼에도 풀시드권자들에게만 2개 해외 대회 출전 기회를 제공한다는 건 특혜로 비칠 수 소지가 충분하다.
상금도 문제다. 2개 대회 모두 총상금액이 30만 달러(약 4억원)다. 올해 치러진 20개 대회 드림투어 총상금액 16억9000만원의 절반에 해당하는 적잖은 금액이다. 각 대회 우승 상금은 6000만원 정도로 예상된다. 이는 올 시즌 풀시드권자로 드림투어 상금왕을 차지한 송은아(22)가 1년간 벌어 들인 5283만7597원보다 700만원 이상 많다.
그런데 이 상금액을 시즌 상금액에 반영한다고 한다. 엄청난 특혜로 받아들여지는 이유다. 입상만으로 정규투어 시드 획득을 위한 유리한 고지를 점하게 되기 때문이다. KLPGA는 드림투어 상금 순위 상위 20명에게 다음 해 정규투어 진출권을 부여하고 있다.
올해 상금 순위 20위로 내년 정규투어 입성에 성공한 조이안(20·CJ)이 획득한 상금은 2240만3885원이다. 사실상 내년 드림투어 상금 순위는 이 2개의 해외 대회 결과로 결정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대회 출전 자체가 ‘로또’나 다름없는 셈이다. 기회를 잡지 못한 선수들의 반발이 거세지는 건 당연하다.
거센 항의가 잇따르자 KLPGT 이영미 대표는 “이사회 의결 사항이라 대회는 예정대로 개최된다”라며 “다만 내달 열릴 예정인 이사회에서 상금 반영이 아닌 포인트 반영을 놓고 논의해 보겠다”고 말했다.
많은 드림투어 선수들은 문제가 된 대회 출전을 위한 퀄리파잉을 실시하거나 드림투어의 상금 순위나 포인트에 전혀 상관없는 현지 프로골프 단체 주관 대회로 치르는 게 맞다고 주장한다. 그러면서 아시안투어 성적을 KPGA투어 성적에 반영하지 않은 것을 예로 든다. 일리가 있는 주장이다.
대회 요강에 상금 반영에 대한 언급이 없어 이벤트 대회인 줄 알았다고 KLPGT에 항의하자 “드림투어이니 상금 반영은 당연한 것 아니냐”는 핀잔이 돌아왔다는 한 선수 어머니의 마지막 말이 귀에 맴돌아 씁쓸하다. “50명의, 50명에 의한, 50명을 위한 드림투어. 나머지 300명은 드림투어 대회를 나갈 이유가 없습니다.”
정대균 골프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