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광산 추도식’이 우여곡절 끝에 오는 24일 일본 현지에서 열린다. 유네스코가 지난 7월 사도광산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에 앞서 일본 정부는 매년 노동자 추도식을 개최하기로 한국에 약속했고 이에 따라 이번에 처음 열리게 됐다.
그러나 개최일이 임박한 시점에서도 추도식에 참석할 일본 중앙정부 인사의 급과 함께 추도사 문구 등에 대한 협의가 마무리되지 않아 일본의 진정성에 대한 의구심은 가시지 않고 있다.
외교부는 20일 “사도광산 추도식을 24일 오후 1시 일본 사도섬 서쪽 니가타현 사도시 아이카와 개발종합센터에서 개최하기로 했다”며 “일본에서는 민간단체, 지방자치단체 관계자 및 중앙정부 관계자 등이 참석하고, 한국에서는 사도광산 강제동원 피해자 유가족과 정부 관계자들이 참석한다”고 밝혔다. 강제동원 피해자 유족 가운데 현재까지 11명이 참석 의사를 밝힌 상태다. 올해 열리는 첫 추도식 개최 시기는 애초 7~8월로 논의되다가 몇 차례 연기를 거쳐 11월 24일로 최종 확정됐다.
다만 양국이 더 조율해야 할 과제들이 남아 있다. 우선 한국 정부는 정무관(차관급) 이상 일본 측 고위직이 참석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지만 일본은 아직 참석자를 확정하지 않고 있다. 우리 외교부는 일단 일본 정부 관계자의 추도식 참석 자체에 의미를 부여하는 분위기다.
사도광산 추도식이란 명칭을 두고도 논란이 예상된다. 당초 일본은 추도식 명칭에 ‘감사’라는 표현을 넣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우리 정부는 강제동원 피해자에게 감사를 표하는 것은 강제성을 희석하는 취지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며 반대해 왔다. 추도식 참석을 보이콧하겠다는 강수도 뒀다. 결국 한국 측 의견이 수용됐지만 ‘조선인 노동자’라는 표현은 명칭에 반영되지 않았다. 외교부 당국자는 “한국인이 포함된 모든 노동자에 대한 추도식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일본 측 추도사에 ‘조선인’이 언급될지도 관심사다. 일본이 그간 강제동원으로 희생된 조선인만이 아닌 사도광산에서 일한 전체 노동자를 기리는 행사임을 강조해온 만큼 조선인 언급이 빠질 가능성이 있다.
피해자 유족의 추모식 참석 경비를 초청국인 일본이 아닌 한국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의 추도순례 사업 비용으로 충당하기로 한 것도 논란의 여지가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유가족이 일본에 가는 비용은 우리 외교부에서 지원하게 되는데, 피해자재단에서 매년 진행하는 추모 순례행사 기준과 유사하게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