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익중 아동권리보장원장은 국민일보와 삼성이 공동 기획한 ‘자립준비청년에 희망디딤돌을’ 캠페인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1, 2기 디딤돌 가족 출범식에 모두 참여하는 등 적극적으로 자립준비청년 지원 활동에 힘을 보탰다. 정 원장은 20일 ‘자립준비청년에 희망디딤돌을’ 캠페인에 대해 “장기 캠페인으로 자립준비청년에 대한 관심을 이어가고 있는 것만으로도 큰 성공”이라며 “국민일보와 삼성이 진정성을 보인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자립준비청년은 매년 2000~3000명 수준이다. 복지 정책 대상자로는 크지 않은 규모다. 정 원장은 “인원이 적더라도 자립준비청년들은 아동기에 부정적 생애 경험을 겪었을 가능성이 큰 집단이기 때문에 심리적·정서적 위기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며 “특히 관계에 대한 지원이 필요한데, 이 부분은 국가 정책으로만 할 수 없는 영역”이라고 말했다.
정 원장은 “국민일보와 삼성 캠페인이 ‘울타리’의 맨 끝단을 만드는 역할을 했다고 본다”며 “울타리의 기본은 경제적 지원과 더불어 관계적 지원인데, 캠페인을 통해 안정된 상태가 되는 데 큰 도움이 됐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새롭게 시작될 캠페인에 대해서는 도움을 받았던 청년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기회의 장을 마련하는 방식을 제안했다. 정 원장은 “울타리를 넘어 이제는 사다리 차원으로의 연결이 필요하다”며 “나보다 어려운 상황에 놓인 후배나 특히 보호 종료가 아니더라도 고립·은둔 청년 등 다른 어려움을 겪는 이들에게 멘토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는 것도 좋은 방식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자립준비청년을 세분화해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그는 “모든 사회복지 분야가 일률적 지원에서 점점 맞춤형 지원으로 바뀌듯 자립준비청년에 대한 지원도 이제는 맞춤형으로 변화를 줘야 할 때”라며 “일자리 지원의 경우에는 무조건 채용하는 방식의 ‘보호된 일자리’보다 충분한 경험을 쌓아 다른 일자리로 나아갈 기회를 주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 원장은 선입견 해소도 여전히 필요한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자립준비청년은 본인이 시설 출신이라는 사실을 숨기는 경우가 많다. 시설 출신이라고 하면 차별적 시선이나 왜곡된 시선을 보내기 때문”이라며 “캠페인이 사회 인식 개선에도 나서 달라”고 말했다.
아울러 정치권과 정부 기관, 종교계, 시민사회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디딤돌 가족’에 참여하는 강점을 살려야 한다고 당부했다. 정 원장은 “캠페인이 단순히 보도에 그치지 않고 입법으로 이어질 여지가 있기 때문에 사회적 관심을 더 크게 끌어낼 수 있었다”며 “캠페인을 통해 성과를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입법 근거가 마련될 수 있도록 지원해주면 좋겠다”고 했다. 또 “10년, 20년 지나서는 자립준비청년뿐 아니라 빈곤청년 등 다양한 청년 정책으로 외연을 넓히는 것도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