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19일 한국노총을 찾아 ‘65세 정년 연장’ 등 노동계에서 제안한 4대 정책 의제를 논의했다. 그동안 정년연장 이슈에 미온적이던 민주노총도 본격적으로 정년연장 관련 논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경제사회노동위원회의 노·사·정 사회적 대화가 좀처럼 접점을 찾지 못하는 상황에서 정치권과 노동계가 정년연장 이슈 공론화에 참여하며 논의에 속도가 붙는 모습이다.
한 대표 등 국민의힘 지도부는 서울 영등포구 한국노총을 찾아 김동명 위원장 등 지도부와 간담회를 가졌다. 윤석열정부 들어 여당 대표가 한국노총을 방문한 것은 처음이다. 한 대표는 “한국노총과 접점을 찾아 좋은 대화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우선순위를 정해 제대로 실천하겠다”고 밝혔다.
한국노총은 ‘5인 미만 사업장 근로기준법 전면 적용’ ‘모든 일하는 사람을 위한 기본법’ ‘기후변화에 대응한 노동 중심의 정의로운 산업전환’ ‘정년연장’ 등 4대 정책 의제를 제안했다. 김 위원장은 “(4대 의제) 하나하나가 보수, 진보를 뛰어넘어 한국사회의 미래를 위한 주춧돌”이라며 “집권 여당이 발벗고 나서서라도 조속한 처리를 이끌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대표는 “국민의힘이 상대적으로 노동 이슈를 경시한다는 오해와 편견을 받아왔다. 근로자의 힘이 되겠다”고 화답했다. 특히 한 대표는 정년연장 의제에 대해 “정년 후 재고용, 정년폐지 등 다양한 계속고용 방법이 나오고 있다”며 “당론을 정하기 위한 공론화 과정을 거쳐 추진하겠다”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년연장은 이날 서울 중구 민주노총 사무실에서 진행된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 기자간담회에서도 주요 이슈였다. 양 위원장은 “정년연장보다 청년 일자리 문제와 노후 보장 문제에 더 집중해야 한다는 입장이었으나 (정년 후) 소득공백에 대한 현실적 대안을 모색하고 고민해야 한다는 생각에 논의를 하고 있다”며 “아직 최종 입장을 결정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다만 양 위원장은 “일하던 사람이 같은 고용 형태를 유지하면서 정년만 연장되는 방향이 옳다”고 말했다.
세종=박상은 기자, 김용현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