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포항제철소 1선재공장이 45년 9개월간의 가동을 마치고 19일 셧다운에 들어갔다. 포스코는 최근 전 세계 철강시장의 공급과잉 지속, 해외 저가 철강재의 공세, 설비 노후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1선재공장 폐쇄를 결정했다. 지난 7월 포항 1제강공장에 폐쇄에 이은 두 번째 셧다운이다. 선재란 철강 반제품을 압연해 선 형태로 뽑아낸 제품으로 강선, 와이어로프, 용접봉 등을 만들기 위한 중간 소재다.
지난해 글로벌 선재시장은 약 2억t의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었으나 수요는 0.9억t에 불과했다. 중국 선재업계는 약 1억4000만t의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는데 중국 건설경기 부진으로 국내 수요가 없자 제품을 저가로 주변국에 수출했다. 그 결과 글로벌 선재 가격은 하락했다.
한국에서도 해외 저가 선재 수입이 늘면서 시장 가격은 계속 내려갔다. 포스코 관계자는 “이런 시장 여건에서 노후화된 설비의 경쟁력 및 수요 감소의 영향을 고려해 1선재공장 효율화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1선재공장은 1979년 2월 28일 가동을 시작했다. 45년간 누적 2800만t의 선재 제품을 생산해왔다. 1선재공장에서 생산한 제품은 못이나 나사의 재료가 되거나 타이어코드, 비드와이어 등 자동차 고강도 타이어 보강재로 활용됐다.
포스코는 1선재공장에서 생산하던 고강도 타이어코드, 선박 및 자동차용 용접봉 등 강재를 포항 2~4선재공장에서 전환 생산할 계획이다. 1선재공장 전 직원은 이달 말까지 공장을 정리한 후 재배치될 예정이다.
내수 저가 선재 시장은 이미 해외 저가 수입재 중심으로 재편돼 해당 설비 조정으로 인한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포스코 측은 “앞으로 가격 중심으로 경쟁하는 시장의 비중을 축소하고 자동차용 고강도 볼트(CHQ), 스프링강, 베어링강 등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으로 역량을 집중해 선재를 생산·판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황민혁 기자 okj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