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트 캠벨(사진) 미국 국무부 부장관이 “한국은 매우 관대하고 너그러운 방위비 협정을 체결했다”며 “차기 행정부에서도 이런 지혜가 충분히 발휘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한국에 방위비 분담금 대폭 인상을 요구할 것이라는 관측 속에서 조 바이든 행정부 고위 인사가 한국의 방위비 부담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한 것이다.
캠벨 부장관은 18일(현지시간) 한국국제교류재단(KF)과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워싱턴DC에서 개최한 제9차 한·미 전략포럼에서 “정권 전환기는 도전적인 시기”라며 “새 트럼프 행정부에 참여하게 될 주요 인사들이 인도·태평양의 의미와 중요성을 이해하는 참모들이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의 전력을 상당히 줄이거나 인도·태평양에 대한 우리의 약속을 바꾸려는 것은 미국의 전략적 이해관계에 반한다”며 “미국이 아시아의 역학관계에 영향을 주고 싶다면 한·미·일이 정치적·전략적으로 더 일치할수록 좋다”고 말했다.
캠벨 부장관은 북·미 외교 재개 전망에 대해 “현재 환경에서 북한이 미국과 다시 대화하고 싶어 하도록 하는 게 가능할지 모르겠다”고 평가했다. 그는 “트럼프와 김정은 간 정상급 접촉 재개 가능성에 대해 많이 들어왔지만 이전(트럼프 1기)에도 (대북) 외교의 기저에는 북한과 한반도의 비핵화를 계속 추진한다는 구상이 깔려 있었다”며 “난 김정은이 앞으로 그런 조건을 받아들일지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캠벨 부장관은 북·러 협력과 관련해 “중국은 러시아의 부추김 때문에 북한이 중국의 이익에 반하는 행동이나 군사적 전개를 고려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