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에서 교통법규 위반 운전자에 대한 공익신고가 크게 늘고 있다.
19일 광주경찰청에 따르면 각종 교통법규를 어긴 운전자를 신고하는 공익신고가 급증해 지난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최근 3년간 자발적 신고건수는 2020년 5만4700여건, 2021년 8만1800여건에 이어 2022년 10만7400여건으로 10만건을 처음 돌파했다. 2023년에는 13만4300여건으로 3년 사이 2.45배 증가했다.
올해 들어서도 10월 말 현재 10만1400여건에 달한다. 연말까지 누적 신고건수는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공익신고는 지난 3월 ‘스마트국민제보’ 등을 통합해 출범한 ‘안전신문고’ 홈페이지와 모바일 어플을 통해 주로 이뤄지고 있다. 신고내용은 신호위반과 중앙선 침범, 방향지시등 조작 불이행은 물론 과속·난폭·보복 운전, 폭주레이싱, 끼어들기 금지·진로변경·고속도로 갓길·버스전용차로 위반 등 매우 다양하다.
등록번호판 위·변조, 가림·식별 곤란·봉인해제, 불법 개조 등 경찰이 범죄예방을 위해 단속해야 할 불법 행위도 접수된다. 유형별로는 2024년 기준 신호위반이 32%로 가장 많았다. 중앙선 침범은 15.5%, 나머지 방향지시등 조작 불이행, 교차로 통행방법 위반 등은 52.5%로 조사됐다.
광주경찰 관계자는 “막무가내로 운전하면서 다른 이들의 간담을 서늘하게 만들면 ‘과태료’ 납부를 각오해야 한다는 인식이 퍼지고 있다”며 “보복심리로 신고하는 사례도 간혹 있지만, 교통안전 확보에는 분명 도움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