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10월 판매직 고용 상황이 코로나19 팬데믹 수준으로 악화했다. 특히 더딘 내수 회복에 청년층을 중심으로 상황이 악화돼 고용시장이 활력을 잃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8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과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지난달까지 월평균 판매 종사자는 251만8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만명 감소했다. 이는 2013년 이후 2020년(-12만7000명), 2021년(-13만2000명)에 이어 세 번째로 큰 감소 폭이다.
판매 종사자는 온라인 거래가 느는 등 시대적 변화에 따라 감소하는 추세이긴 하지만 청년층 감소 폭이 특히 두드러졌다는 점에서 우려가 크다. 올해 줄어든 판매직 11만명 중 15~29세 비중은 절반에 가까운 5만1000명이다. 60세 이상에서는 반대로 9000명 증가했다.
내수 부진 여파로 상대적으로 청년들에게 진입장벽이 낮은 판매직이 큰 타격을 받는 것으로 분석된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과 명예교수는 “산업경쟁력이 약화하며 청년층 입장에서 좋은 일자리가 없는 상황”이라며 “내수를 위협하는 대내외적 여건에 성장률도 둔화할 가능성이 큰 상황에서 경쟁력 있는 대체 산업을 마땅히 찾지 못해 이 같은 현상이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세종=김윤 기자 k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