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서울 집값이 2021년 전고점과 비교할 때 약 15% 덜 올랐다는 분석이 나왔다.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것으로, 물가상승률을 감안하기 전보다 상승률이 10% 포인트 정도 낮아졌다. 상승 폭이 생각만큼 크지 않았던 만큼 내년 서울 집값은 떨어지기보다 물가상승률 수준의 상승세를 유지할 것이란 분석이다.
국회예산정책처가 13일 발행한 ‘예산춘추’에 실린 한 기고문에서 황관석 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정책연구센터 부연구위원은 “내년 서울 집값은 급격히 오르기보단 물가 상승률 수준인 2% 내외로 움직이며 더딘 상승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6월을 기점으로 서울 아파트 가격이 강력한 회복세를 보이긴 했지만, 물가 상승률을 적용하면 과열 수준은 아니었다는 평가다. 황 연구위원에 따르면 2021년 10월~올해 8월까지 누적 물가상승률 10.8%를 반영하면 한국부동산원 기준 지난 8월 서울아파트 매매실거래 가격지수는 전고점이던 2021년 10월보다 15.3% 덜 올랐다.
정부의 ‘8·8 부동산 공급대책’이 당장의 공급불안 심리를 잠재우기 어렵다는 점도 이 같은 전망의 근거로 제시됐다. 황 연구위원은 “주택공급계획은 공급불안 심리를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지만 실제 입주까지 공급시차가 있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집값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금리 인하 방향도 향후 서울 집값을 자극할 수 있는 요인이다. 황 연구위원은 “금리가 더 내릴 것이라는 기대 심리는 주택 구매심리 확대로 이어진다”며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며 금리와 유동성이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커졌다”고 분석했다.
변수는 정부의 ‘대출 조이기’다. 황 연구위원은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2단계 정책의 경우 고소득층에 대해 일부 효과가 제한적이긴 하나, 실제 주택구입 여력을 낮추고 주택구매심리를 완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짚었다.
한편 지방 부동산시장은 내년에도 어두울 것으로 전망됐다. 황 연구위원은 “미분양주택 적체와 PF대출 부실 우려 속에서 주택시장 회복은 더딜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세종=김혜지 기자 heyj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