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가 내년 상반기 5세대 이동통신(5G)·LTE 구분을 없앤 통합요금제를 내놓는다. 이에 따라 올해 안에 5G보다 비싼 LTE 요금제 가입이 전면 중단될 예정이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13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유영상 SK텔레콤 대표, 김영섭 KT 대표, 황현식 LG유플러스 대표 등 통신 3사 최고경영자(CEO)와 간담회를 갖고 이 같은 내용을 논의했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네트워크정책실장은 브리핑에서 “유 장관은 통신비와 관련해 LTE 요금이 5G보다 비싼 요금 역전 현상과 선택약정 문제 등에 대해 소비자 관점에서 소비자 권익의 실질적 증진 방안을 조속히 제시해달라고 요청했다”고 말했다.
KT는 내년 1분기까지 5G·LTE 통합요금제를 출시할 방침이다. 통합요금제는 세대별 기술 방식을 구분하지 않고 데이터 용량, 전송 속도에 따라 요금을 선택하는 상품이다. SK텔레콤와 LG유플러스도 전산시스템을 개편해 내년 상반기 중 통합요금제를 출시한다.
통합요금제 출시에 따라 요금 역전 현상은 연내 사라질 전망이다. 이통 3사는 데이터당 단가가 5G보다 높은 LTE 요금의 신규 가입을 중단키로 했다. 앞서 올해 국정감사에서 LTE 요금제 중 일부가 5G 요금제보다 비싸지는 역전 현상이 일어났다는 지적이 나온 데 따른 것이다.
과기정통부는 유 장관이 선택약정 미가입자 문제를 해결해 달라고 요청했고 통신 3사의 개선 의지를 확인했다고 전했다. 류 실장은 “3사 모두 자격이 되고 소비자가 원하는데 혜택을 누리지 못하는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제도 개선을 약속했다”고 말했다.
유 장관과 3사 CEO는 이날 알뜰폰 활성화 방안, 불법스팸 근절, 인공지능(AI) 네트워크 등 미래 투자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임송수 기자 songst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