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글로벌 3위 현대차, 상생 없인 지속 가능 성장 없다

입력 2024-11-14 01:20
서울 서초구 현대자동차 본사 외관. 연합뉴스

현대차그룹이 부품 계열사의 파업과 임금 격차에 대한 반발 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현대차 노사가 지난 7월 기본급 11만2000원 인상과 ‘성과급 500%+현금 1800만원’에 주식 25주 지급 등 사상 최대 임금 인상에 합의한 여파가 부품 계열사 직원들의 불만으로 터져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앱인 ‘블라인드’에는 최근 한 달 동안의 파업을 마친 현대프랜시스 등 자동차 부품 계열사 직원들이 현대차의 부품 단가 후려치기 때문에 영업이익률이 저조해 임금 격차가 심해지고 있다고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이에 현대차 직원들은 부품사들이 설립 취지에 맞게 저렴하게 공급해야 한다는 논리로 맞서는 등 감정싸움 양상으로 번지고 있다.

이처럼 대기업 계열사가 부품 단가 후려치기를 호소할 정도라면, 계열사조차 아닌 중소 협력업체 근로자들이 얼마나 열악한 처지에 내몰리며 소외되고 있을지 가늠할 수 있는 대목이다. 실제로 지난해 자동차 부품 상장사의 3분의 1이 영업이익이 줄거나 적자를 기록할 만큼 힘든 상황에 몰려 있다. 현대차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 들어 2분기까지 사상 최대의 영업이익을 달성했지만, 이 이익이 현대차그룹이 틈만 나면 외쳐오던 협력업체와 동반성장을 통한 상생을 도모한 결과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현대차그룹이 세계 3위 자동차업체로 성장한 지금, 내부에서조차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것은 매우 우려스러운 일이다. 계열사와 협력업체, 정규직과 비정규직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야말로 지속 가능한 글로벌 리더로 자리 잡기 위한 필수 조건이다.

모빌리티 패러다임 경쟁이 가속화하는 가운데 세계 최대 전기차업체인 중국의 BYD(비야디)의 저가 전략을 앞세운 한국 시장 진출 소식은 현대차에 큰 도전이 될 것이다. 게다가,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가 당선되면서 전기차 산업 규제 강화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 경쟁과 규제 환경 속에서 현대차가 진정한 리더십과 경쟁력을 발휘하려면, 내부 갈등을 넘어 협력업체와의 상생 실천이 전제조건임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