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천 개입 의혹 등의 핵심 인물인 명태균씨가 이틀간 검찰 조사에서 자신의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와 대가성 공천 의혹 등을 전면 부인했다. 명씨는 김영선 전 의원 공천 의혹에 대해 ‘좋은 사람이 있으면 누구나 (대통령에게) 추천을 할 수 있다’며 법적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다. 핵심 피의자 조사를 마친 검찰은 김 전 의원과 명씨 등의 구속영장 청구 여부를 검토 중이다.
10일 법조계에 따르면 명씨는 창원지검 전담수사팀(팀장 이지형 차장검사)에서 지난 8일과 9일 이틀간 약 20시간 고강도 조사를 받았다. 그는 9일 검찰 출석 전 공천 개입 의혹과 관련해 “언론이 거짓의 산을 만들었다”고 불쾌감을 나타내거나 “단돈 1원도 받은 적 없다”고 혐의를 부인했다. 9일 오후 10시25분쯤 창원지검에서 조사받고 나온 후에는 “좋은 사람이 있으면 누구나 추천할 수 있고, 대통령 부부도 주변에 물어볼 수 있는 것 아니냐”고 했다. 명씨가 대통령실 용산 이전에 관여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청와대 터가 안 좋다느니 말이 많아서 제 의견을 말씀드린 것”이라고 했다. 대통령 부부와 관련된 자신의 녹취가 공개된 것에 대해서는 “같이 일한 강혜경씨에게 격려 차원에서 너스레 떨며 얘기한 것을 (언론에서) 사실처럼 얘기한다”고 재차 반박했다.
명씨는 혐의를 부인하지만 김 전 의원 추천 등 관련 내용은 사실상 일부 인정하면서 의혹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7일 기자회견에서 “총선 때 사람들이 좋은 사람을 추천하면 당 인재영입위에 전달했다”고 말했다. 명씨는 창원국가산단 선정 관여 의혹에 대해 “제가 제안한 것이라 내용을 확인하고자 (창원시와) 세 번 만났다. 정책 의견을 내는 게 잘못인가”라고 했다.
명씨는 2022년 8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김 전 의원으로부터 수십 차례에 걸쳐 9000여만원의 세비를 건네받은 의혹을 받는다. 그가 실소유주로 알려진 미래한국연구소는 지난 대선 당시 총 81차례 윤 대통령과 관련된 여론조사를 실시했고 3억7000만원 상당 비용이 발생했다고 한다. 강씨는 명씨가 비용 대신 김 전 의원 공천을 대가로 받았다고 주장한다. 명씨가 지방선거 출마자에게서 받은 2억여원을 여론조사 비용으로 충당했다는 주장도 추가로 나왔다.
그러나 명씨는 공천 대가를 받은 적 없고, 세비 9000여만원은 개별적으로 빌려준 돈을 받은 것이라고 반박한다. 명씨는 미래한국연구소는 자신의 소유가 아니라는 취지의 녹취록도 검찰에 제출했다. 녹취록에서 명씨는 김태열 미래한국연구소장에게 ‘연구소가 본인 것인가’라고 묻고, 김 소장은 ‘그렇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강씨 측은 “연구소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만들기 위해 상황 설정을 하고 몰래 녹음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근 강씨와 김 전 의원을 잇달아 조사한 검찰은 명씨 조사에서 정치자금법 위반 의혹 등 사건 전반을 집중 추궁했다. 검찰은 사건 관련자들에 대해 구속영장 청구 등 신병 처리 문제를 검토할 계획이다.
김재환 기자 j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