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재집권으로 과학기술계의 고민이 커졌다. 미국 중심의 산업 육성책이 기술 규제를 바탕으로 하고 있어서다. 전문가들은 인공지능(AI) 분야에서 미국 빅테크 기업과의 기술 격차가 더 커질 것으로 봤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미 대선 결과에 따른 과학기술 대응 전략 토론회를 열었다. 이광형 카이스트 총장은 “국제 정세가 크게 변화하고, 미국과 중국 간 기술 경쟁이 심화할 가능성이 크다”며 “그러나 이는 우리나라에 새로운 도전이자 기회를 동시에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토론자들은 트럼프 재선에 따른 기술 공급망 재편과 기술 자립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혁중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박사는 “미국 정책을 살펴보면 기술과 산업을 하나의 관점으로 보고 있다. 기술 규제가 점차 산업 규제에 가까워지는 모습”이라며 “우리 정부가 공세적으로 경제 안보 정책을 운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미·중 갈등 리스크에 대비하기 위한 차세대 기술 선도에 나서야 한다는 제언도 나왔다. 이주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략기술육성과장은 “미국 AI 기업과의 기술 격차가 확대될 가능성이 우려되는 지점”이라며 “국내 기업이 첨단반도체 분야에서 갖는 기술 우위 등은 기회가 될 수 있다”고 했다.
과학기술계 인재 확보를 위한 정부 정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서용석 카이스트 국가미래전략기술 정책연구소장은 “트럼프 당선인도 이민 문제나 영주권에 대해서는 강경한 입장을 보이는데도 과학기술 인재는 ‘프리 패스’로 서명한다”면서 “인재를 뺏기지 않도록 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