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6일 국방·외교 현안 관련 긴급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미국 대선 결과에 따른 대응책을 논의했다. 국민의힘은 의회 차원의 대미(對美) 외교 확대를 통해 한·미동맹 강화에 힘을 쏟기로 했다. 회의에서는 미국 새 대통령의 의회 인증 절차가 마무리되는 내년 1월쯤 한 대표가 미국을 방문하는 방안도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 대표는 국회에서 취임 이후 첫 외교·안보 관련 회의를 열었다. 서범수 사무총장을 비롯한 당 지도부와 국회 국방위원회와 외교통일위원회 상임위원장 및 간사, 외교·안보 전문가 등이 참석했다. 이날 회의는 미국 대선 결과와 북한의 우크라이나 전쟁 참전에 따른 국내외 영향을 분석하고 집권여당의 대비 상황을 점검한다는 취지에서 열렸다.
비공개회의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에 대비한 ‘케이스 스터디’가 진행됐다고 한다. 회의에선 “트럼프 전 대통령 당선 시 한국이 맞닥뜨릴 도전과 과제가 한둘이 아니다. 여당이 할 일도 지천이 될 것”이란 관측이 제시된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한 미 방위비분담금 대폭 인상, 인플레이션감축법(IRA) 폐기 및 동맹국들에 대한 관세 인상 등을 공언해 왔다.
또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집권하면 우크라이나 전쟁의 종전이 빨라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우크라이나에 대한 (방어용·공격용) 무기 지원에 신중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다만 정부의 우크라이나 참관단 파견은 필요하다는 데 공감대를 이뤘다고 한다. 한 참석자는 “기본적으로 외교·안보에 관한 건 정부의 영역이기 때문에 여당에서는 미국 의회 등을 상대로 한 적극적인 의회 외교를 통해 정부의 대응을 지원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강연자로 나선 남성욱 고려대 통일외교학부 교수는 내년 1월 신임 대통령 취임 전 여당 차원의 의회 외교 일환으로 한 대표의 방미를 건의했고, 한 대표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 또 다른 참석자는 “미국 새 행정부 출범을 앞둔 만큼 정부든, 민간이든, 국회든 미리 접점을 많이 발굴해두자는 의견이 나왔다”고 전했다.
국민의힘은 미 대선이 끝난 만큼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하는 대미 의회 외교 강화에 주력하기로 했다. 한 대표는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어느 후보가 미국 대통령이 되든 한·미동맹은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한·미 관계는 우리 보수당, 국민의힘의 강점 중 하나”라며 “저희가 잘 준비하고 있고, 준비돼 있다”고 강조했다.
정우진 이강민 기자 uz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