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11·5 대선에서 승리를 확정 지으면서 내년 1월 대통령 취임식까지 어떤 절차를 거치는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미국은 유권자의 직접투표로 차기 대통령을 뽑는 한국 등과 달리 선거인단을 통한 간접선거제를 택하고 있다. 개표 완료 후 패한 후보가 결과에 승복하면 내년 1월 20일로 예정된 제47대 대통령 취임식까지의 절차는 ‘형식적 절차’로 진행된다.
개표 최종 완료 전이라도 사실상 당선자가 확정되면 연방총무청(GSA)은 바로 다음 날부터 정·부통령 ‘잠정 당선인’에게 정권 인수를 위한 사무실 공간과 각종 서비스를 제공한다. 잠정 당선인의 대통령직 수행을 위한 GSA 주관 오리엔테이션도 시작된다. 국가안보와 관련한 기밀정보 브리핑 역시 이 시점부터 제공된다.
각 주에서 개표 결과가 최종 확정되면 주별로 배정된 선거인단 수에 맞춰 12월 11일 주별 선거인단 명부가 확정된다. 선거인단은 각 주의 정당이 구성한다. 이 때문에 엄밀히 말하면 11월 5일 대선에서 유권자들은 대선 후보가 아닌 정당이 구성한 선거인단에 투표하는 셈이다. 선거인단 투표는 12월 둘째 수요일 다음 화요일에 이뤄진다. 올해는 12월 17일이다. 이때 주별로 선거인단이 해당 주 의회에 모여 투표한다.
선거인단 투표 결과는 12월 25일까지 연방의회로 송달된다. 이어 연방의회가 내년 1월 6일 상하원 합동회의를 열고 주별로 송달받은 선거인단 투표를 집계한 뒤 이를 인증하는 절차를 밟는다. 이로써 대통령 취임 전 모든 법적 절차가 완료된다. 새 대통령은 1월 20일 취임한다.
앞서 조 바이든 대통령이 승리한 2020년 대선 때는 트럼프가 패배를 받아들이지 않자 그의 극렬 지지자들이 2021년 1월 6일 상하원 합동회의를 막기 위해 의사당에 난입해 차기 대통령 인증을 방해한 바 있다. 이런 상황이 재연되는 걸 막기 위해 알레한드로 마요르카스 국토안보부 장관은 내년 1월 6일 연방의회의 인증 행사를 국가특별안보행사로 일찌감치 지정해 놨다.
신창호 선임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