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공정 탄소 감축도 포함”… 지지국 10개국으로 늘었다

입력 2024-11-04 00:13
게티이미지뱅크

한국 정부가 지난해 국제사회에 제안한 ‘무탄소에너지(CFE) 이니셔티브’가 탄소 중립 프로젝트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 CFE 이니셔티브 지지를 선언한 국가 수는 1년여 만에 두 자릿수로 늘었다. 유엔 산하 기구도 지지를 표명했다.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등 다른 탄소 중립 캠페인과의 차별화에 성공한 배경에는 ‘현실성’이 존재한다. 지금처럼 해서는 2050년 탄소 중립 달성이 어렵다는 각국의 판단이 CFE 이니셔티브에 눈길을 돌리게 만들었다는 평가다.

3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9월 유엔총회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기조연설을 통해 밝힌 CFE 이니셔티브에 지지를 표명한 국가는 모두 10개국이다. 지난달 필리핀이 지지를 선언하며 두 자릿수가 됐다. 앞서 네덜란드 루마니아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영국 일본 체코 캄보디아 프랑스도 지지를 표명했다. 지난 9월에는 유엔 산하 국제에너지기구(IEA)가 지지를 선언하고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기업은 23곳이 참여 의사를 표명했다.


각국과 기업이 CFE 이니셔티브에 관심을 보이는 이유는 현실적인 부분 때문이다. CFE는 RE100과 달리 원전, 수소, 탄소포집·활용·저장(CCUS) 기술 등을 탄소 저감 기술로 인정한다. 이 개념은 구글 등이 주도하는 캠페인인 ‘24/7 CFE’(매일 24시간 1주일 내내 무탄소 에너지 사용)에서도 쓰인다. 재생에너지만을 논하던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 패러다임이 바뀐 것도 CFE와 무관하지 않다. 지난해 제28차 당사국총회(COP28)에 참여한 국가들은 원전, 수소, CCUS를 탄소 감축 수단으로 공식 인정했다.

한국이 주창한 CFE 이니셔티브는 CFE를 활용하자는 세계적 움직임에 한 가지를 더 추가했다. 다른 캠페인이 아우르지 못한 산업 공정에서 배출되는 탄소를 줄이는 기술을 포함했다. 각국 입장에선 비용 효율을 감안한 다양한 선택지를 놓고 판단해 볼 수 있다.

선진국 중심의 탄소 중립 시도가 실패하고 있다는 점은 이 대안을 더욱 부각시키는 요인이다. 2020년 기준 세계 탄소 배출량의 69.6%는 개발도상국이다. 개도국이 탄소 중립에 나설 수 있는 방안이 없으면 이는 불가능하다. 한국인 최초 유엔 산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의장 출신인 이회성 무탄소(CF)연합 회장은 “그동안 세계는 개도국이 무탄소 경제로 가게 만드는 노력을 게을리했다”며 “탄소 중립을 이루려면 모든 기술을 고려해야만 한다”고 강조했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