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청정 전기’가 핵심… 정부 전폭적인 지원책 필요”

입력 2024-10-31 01:20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이 30일 서울 중구 대한상의회관에서 열린 탄소중립과 에너지 정책 세미나에서 마무리 발언을 하고 있다. 최현규 기자

국내 기업들이 RE100(사용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족)을 달성하기 위해 정부 차원의 전폭적인 산업·금융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전문가들은 탄소중립이 기업의 경쟁력과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책임지는 핵심 가치로 떠올랐다고 입을 모았다.

대한상공회의소는 30일 서울 중구 상의회관에서 ‘2024 탄소중립과 에너지 정책 세미나’를 열고 탄소중립 이행 과정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향후 정책 방향을 논의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을 비롯해 정부·국회·기업 등 주요 인사 300여명이 참석했다.

전문가들은 탄소중립에는 ‘전기’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조홍종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청정 전기화’를 탄소중립의 핵심으로 꼽았다. 조 교수는 “탈탄소화는 화석연료로 대표되는 열에너지와 석유로 대표되는 수송에너지가 모두 전기로 넘어갈 때 가능하다”며 “전기는 송전망으로만 이동할 수 있는데 송전망과 관련된 갈등을 합리적, 경제적, 민주적으로 해결하고 투자를 배로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홍종호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전기요금에 최소한의 원가와 사회적 비용을 반영해야 한다”며 “1~2년에는 안 되겠지만, 비전 있는 정치 지도자라면 로드맵을 가지고 5~10년 내로는 전기요금 정상화를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부의 소극적인 행정을 질타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이사는 “미국은 버락 오바마 정부 이후 글로벌 정책 중심에는 항상 기업이 있다”면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이번 대선에서 당선된다고 해도 ‘기업이 고용을 창출하고, 국가 경제를 발전시킨다’는 기조는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 정부도 최소 20년 이상의 일관되고 안정된 탄소중립 정책을 제공해야 한다”고 했다.

최 회장은 “탄소중립은 하기 싫은 숙제가 아니다”라며 “한국이 1년에 에너지를 수입하는 데 약 300조원을 쓰는데, 이를 기술로 대체하고 오히려 300조원을 수출할 수 있다면 미래 산업이 우리에게 주는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백재연 기자 energ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