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승자 확정에 며칠 걸릴 수도… 사전투표 처리가 문제

입력 2024-10-30 01:03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델라웨어주 뉴캐슬의 사전투표소 앞에서 입장을 기다리면서 거동이 불편한 유권자의 휠체어를 밀어주고 있다. AP연합뉴스

미국 대선은 다음 달 5일(현지시간) 실시되지만 승자가 확정되기까지 며칠이 걸릴 수도 있다. 직전 2020년 대선 때는 경합주인 펜실베이니아 집계 결과가 늦게 나오면서 투표 후 나흘이 지나서야 승패가 결정됐다. 2016년과 2012년 대선에서는 선거 다음 날에 바로 결과가 나왔다.

개표가 늦어지는 이유는 막대한 규모의 사전투표 처리 때문이다. 미 대선에서 사전투표 비율은 2012년 33%, 2016년 40%였고 ‘코로나 대선’으로 불린 2020년에는 69%까지 올랐다. 이번 대선에서도 27일까지 1억6000만명의 유권자 중 4200만명이 사전투표를 마쳤다.

사전투표는 사전투표소 현장 투표와 우편투표로 이뤄지는데 우편투표 처리가 특히 문제다. 일부 주에서는 선거 당일에야 우편투표를 개표하기 시작하며, 선거 후 3~4일이 지날 때까지 우편투표를 접수하는 주들도 있다. 이번 대선처럼 초접전인 상황에서는 뒤늦게 개표되는 표들이 승부를 뒤바꿀 수 있다. 특히 승부처로 꼽히는 7개 경합주의 개표가 완료될 때까지 승자를 확정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로이터통신은 7개 경합주의 개표 방식을 소개하며 승자 결정이 늦어질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보도에 따르면 애리조나주의 경우 2020년 대선에서 거의 90%의 유권자가 사전투표를 했고 대부분이 우편투표였다. 애리조나주에선 선거 당일에 발송된 우편투표 용지는 투표가 종료될 때까지 처리할 수 없는데 이 규모가 적지 않다.

조지아주의 사전투표 비율도 65~70%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모든 사전투표는 선거일 오후 8시까지 집계, 보고돼야 한다. 하지만 외국 거주자나 군인의 투표는 11월 5일까지의 소인이 있으면 선거 3일 후까지 접수한다. 이 투표용지가 모두 집계될 때까지 접전이 마무리되지 않을 수도 있다.

미시간주는 지난 대선 이후 사전투표소 투표를 도입했고 우편투표를 선거일 전부터 개표할 수 있도록 선거법을 개정했다. 네바다주는 11월 5일까지의 소인이 있는 우편투표는 선거 후 4일 이내 도착하면 집계한다. 네바다에서도 늦게 도착하는 투표용지가 승부를 가를 수 있다. 노스캐롤라이나주는 11월 5일까지 도착하는 부재자 투표와 외국 거주자·군인의 투표용지는 선거 후 개표한다.

최대 격전지인 펜실베이니아주는 선거일 오전 7시까지 우편투표를 처리하거나 집계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몇 안 되는 주에 속한다. 이 때문에 최종 결과가 나올 때까지 며칠이 걸릴 수 있다. 위스콘신주도 우편투표 처리나 집계를 선거일 아침까지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사전투표 집계에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작은 표차로 승부가 갈리는 경우 투표 관련 소송이 승패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공화당은 펜실베이니아주가 우편투표에서 속봉투를 사용하지 않은 투표자에게 다시 투표 기회를 준 것에 대해 그런 기회를 주지 말 것을 요구하는 취지의 가처분 신청을 연방대법원에 냈다.

김남중 선임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