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불거진 딥페이크 성범죄 확산을 막기 위해 전 생애적 성평등 교육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디지털 성범죄는 왜곡된 성인식에서 비롯하기 때문에 사회 구성원 전체가 성평등 의식을 갖추는 기회를 늘려야 한다는 의미다.
유랑 한국성폭력상담소 성문화운동팀 활동가는 29일 국회에서 열린 ‘딥페이크 성범죄 방지를 위한 토론회’에서 “딥페이크 성폭력이 사실상 여성 혐오에 기인하는 점을 짚어내지 못한다면 기술이 발달할 때마다 새로운 유형의 성폭력이 계속 드러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윤경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 회장은 “여성과 남성을 동등한 위치로 여기지 않는 차별이 문제의 핵심”이라며 “성평등 교육을 통해 평등하고 인권친화적인 사회를 만드는 것이 미래의 피해자를 지원할 근본적 대책”이라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성평등 교육에 대한 새로운 법적 근거 마련도 제안했다. 손지은 전교조 부위원장은 “현 교육과정이나 지침에 ‘성평등 교육’이라는 용어 자체가 없다”며 “천차만별로 행해지는 성과 관련된 교육을 포괄하는 국가 차원의 표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부 전문가는 성평등 교육이 초·중·고교 차원에서 그치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명화 한국청소년성문화센터협의회 상임대표는 “결국 기성세대의 성인식이 아동·청소년에게 전수되기 때문에 청소년뿐 아니라 전 생애적 성평등 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상임대표는 “교육부나 여성가족부만 성교육을 담당한다는 분절된 사고를 넘어 모든 부처에 걸친 확장적 사고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남성 맞춤형 성평등 교육을 하자는 주장도 제기됐다. 한채윤 남다른성교육연구소 편집위원은 “한국 사회가 오랫동안 만들어 낸 성별 고정관념과 왜곡된 남성성으로 남성과 여성 간 인식 차가 있는 게 현실”이라며 “남성이 놓인 상황에 맞춘 교육안을 짜야 한다”고 말했다. 학교 교육뿐 아니라 남성 양육자 등에 대한 교육도 이뤄져야 한다는 취지다.
김승연 기자 ki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