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은 아담과 하와를 통해 가장 작은 공동체인 ‘가정’을 창조하셨다. 하지만 작금의 시대는 하나님이 짝지어주신 부부간 언약 관계(막 10:9)가 쉽게 깨질 수 있는 가벼운 관계로 치부되고 있다. 이혼으로 상처입은 가정은 교회 공동체에서도 상처받기 일쑤다. 매년 평균 9만쌍의 부부가 갈라지는 세태 속에서 이혼 가정을 바라보는 한국교회의 현실과 사역과제 등을 3차례에 걸쳐 짚어본다.
결혼 8년차인 한유리(가명·40)씨는 자녀 둘을 둔 워킹맘이다. 이혼의 기로에 선 그는 올 초부터 우울증으로 정신과 치료를 받고 있다. 28일 서울 서초구의 한 카페에서 만난 한씨는 “두 딸을 키우며 일하는 게 너무 힘들지만 버티고 있다. 이혼하려면 경제적으로 자립 된 상태여야 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모태신앙인 그는 친정 부모가 반대한 결혼을 강행했기에 친정 식구들에게는 고충을 털어놓지 못한다고 했다. 매주 출석하는 교회에서도 기도 제목을 나눌 공동체가 없다고 한다. 자신의 상황이 교회 안에서 소문으로 퍼질까 염려돼서다. 한씨는 “교역자 역시 전문 상담가가 아니다 보니 한계가 있었다”며 “외부의 상담 기관만 찾게 되는데 남편은 상담을 거부한다. 저 혼자만 상담받는 게 무슨 소용인가 싶다”고 울먹였다.
‘이혼’ 꼬리표에 서먹해진 공동체
2009년 이혼한 윤정혜(가명·57)씨는 이혼 후 믿음 생활을 중단하다 몇 년 전부터 다시 교회에 출석 중이다. 싱글맘으로 생활 전선에서 일하다 어느 순간 교회를 떠났다고 했다. 2016년 지인의 소개로 용기를 내 교회에 나갔다. 윤씨는 29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이혼 사실이 알려진 뒤 갑자기 성도들과의 관계가 서먹해지는 것을 느꼈다”고 회고했다.
새로 옮긴 교회에서도 분위기는 비슷했다. 그는 “특히 교회 어른들이 ‘속사정 많았겠다’ 한마디 해주시면 넘어갈 일인데 ‘이혼하면 안 되지’라고 꼭 말씀하신다”며 씁쓸해했다.
올 초부터 외부에서 진행하는 가정사역 프로그램에 두 차례 참여한 그는 내적인 어려움을 어느 정도 극복했다. 그는 “나처럼 사정이 있는 사람들이 함께할 공동체가 있거나 이혼 가정을 대상으로 한 사역 프로그램이 있으면 좋을 것 같다”고 요청했다.
같은 예배자로 봐줬으면
송미숙(가명·50)씨는 2016년 배우자의 외도로 이혼했고 이듬해 친정어머니의 갑작스러운 죽음까지 경험했다. 송씨는 이혼 후 어릴 때부터 다니던 모교회에 다시 출석하고 있다. 그는 “원래 저를 알던 분들이 많이 안타까워하시고 사랑으로 맞아주셔서 그나마 위로를 받았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교회 안에 이혼에 대한 선입견이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송씨는 “그저 이혼 가정에 대해 같은 예배자, 성도로 대해 달라”고 호소했다.
이혼 가정을 마주하는 목회자들 또한 남 모를 고충을 안고 있다. 그들을 대상으로 어떤 메시지를 전해야 할지 난감하기 때문이다. 방지원 순복음새소망교회 목사는 “교회가 ‘이혼은 죄’라는 메시지를 전하면 이혼의 아픔을 겪은 성도들이 실족할까 염려된다”며 “이런 부분 때문에 설교 메시지에 대해 귀와 마음을 닫아버릴까 봐 굉장히 조심스럽다”고 털어놨다.
위기 가정 돌봄이 교회 사명
앞선 사례들은 한국교계가 당면한 씁쓸한 자화상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매년 9만쌍 넘는 이혼가정이 생긴다. 결별한 당사자와 자녀 등을 포함하면 30만~50만명의 이혼 당사자가 매년 쏟아져 나오는 셈이다.
하지만 교회가 이혼 가정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돌봐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서툴고 소홀하다는 지적이다.
최근 ‘국내 이혼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한 기독교교육학’을 연구한 이현철 고신대 교수는 “한국교회가 이혼에 대해 명확하고 일치된 신학적 입장을 내놓지 못하면서 분명하게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교회가 공동체 내에 있는 위기 가정, 이혼 가정을 섬기는 방법과 결혼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적극 모색하고 강구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하이패밀리 대표 송길원 목사는 “건강한 가정이 세워지려면 무엇보다 공동체의 힘이 필요하다. 위기 가정을 돌보는 교회 사역이 활발해져야 한다”고 전했다.
김아영 조승현 기자 sing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