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8월 임금을 받는 20대 ‘임금근로자’ 10명 중 4명은 비정규직으로 집계됐다.
2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20대 임금근로자 338만9000명 가운데 비정규직 비중은 43.1%(146만1000명)다. 관련 통계 작성(2003년) 이래 8월 기준으로 역대 최고 비중이다. 8월 20대 고용률은 61.7%로 역대 가장 높았는데, 사실상 비정규직 증가가 고용 호조를 이끈 셈이다.
20대 비정규직은 8월 기준으로 10년 전인 2014년 106만9000명에서 2017년 115만7000명, 2020년 128만3000명, 지난해 142만3000명으로 꾸준히 늘었다. 반면 2014년 227만5000명이었던 20대 정규직은 2018년 235만3000명까지 늘었다가 올해는 192만9000명으로 줄었다.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200만명 아래로 떨어졌다.
20대 비정규직 증가는 아르바이트·파트타임 등 ‘시간제 근로자’ 확대가 주요인으로 풀이된다. 지난 8월 기준 20대 시간제 근로자는 총 81만7000명으로, 10년 전인 2014년(41만6000명)과 비교해 2배 가까이 늘었다. 20대 임금근로자에서 시간제 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중도 2014년 12.4%에서 올해 24.1%로 급증했다. 반면 같은 기간 한시적(기간제·비기간제) 근로자는 23만9000명 늘어나는 데 그쳤고 파견·용역 등 비전형 근로자는 1000명 줄었다.
한편 65세 이상 고령층 자영업자는 부채 규모가 연 소득의 10배를 넘는 것으로 분석됐다. 김현열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이날 코리아크레딧뷰로(KCB) 자료 분석 결과, 지난 2분기 말 기준 65세 이상 자영업 차주의 총대출잔액이 평균 4억5000만원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이들의 연 소득 대비 총부채잔액비율(LTI)은 평균 10.2배로, 전체 자영업 차주 평균(8.0배)을 웃돌았다. 특히 도소매업과 음식·숙박업 등 과밀업종에서 LTI가 높았다. 김 연구위원은 “고령층 자영업자는 소득 대비 부채 규모가 과도하게 누적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세종=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