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릉이는 ‘교통 복지’… 요금 안 올린다”

입력 2024-10-28 01:04
서울시민들이 지난 6월 24일 오전 종로구 광화문광장 인근 따릉이 대여소에서 따릉이를 이용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시가 공공자전거 ‘따릉이’의 요금을 무기한 동결하기로 했다.

시 관계자는 27일 “당분간 따릉이 요금 인상은 없다”며 “대중교통 요금 인상, 그 한참 뒤의 문제”라고 말했다.

시는 ‘공공자전거 요금체계 개편 학술용역’ 수의계약을 맺은 한양대 산학협력단으로부터 최근 중간보고를 받고 당장 요금을 인상하기는 어렵다고 판단했다. 학술용역은 물가 상승률에 연동한 적정 수준의 따릉이 요금을 측정하기 위해 지난 4월 시작됐으며 다음 달 종료된다.

시와 한양대 산학협력단은 현 시점에서 요금 인상은 적절치 않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버스와 지하철의 요금을 올려 나가야 하는 상황에서 따릉이 요금까지 인상하는 것에 부담을 느낀 것으로 알려졌다. 시 관계자는 “따릉이는 수익사업이 아니라 교통복지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학술용역을 총괄하는 고준호 한양대 도시대학원 교수는 “따릉이 적자가 늘고 있긴 하지만 지하철이나 버스에 비하면 적자액이 절대적으로 크다고 볼 수 없다”고 말했다. 따릉이 적자 규모는 2020년 99억원, 2021년 103억원, 2022년 94억원. 2023년 109억원으로 집계됐다.

한양대 산학협력단은 또 서울시설공단의 협력을 받아 따릉이 회원 1만8877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했다. 그 결과 요금이 인상될 시 ‘따릉이를 타지 않겠다’ 혹은 ‘다른 교통수단으로 전환하겠다’고 답한 비율이 약 40%에 달한 것으로 파악됐다.

시는 요금 인상 대신 별도 요금 체계를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적자 개선 효과를 내겠다는 것이다. 따릉이 요금 체계는 시범 운영 사업을 시작한 2010년부터 일일권 1시간(1000원)·2시간(2000원), 정기권 7일(3000원)·30일(5000원)·180일(1만5000원)·365일(3만원)으로 구성돼 있다.

여기에 장시간 이용자들을 위한 일일권 4시간, 주말권을 추가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또 따릉이 일일권 사용자를 상대로 반납 후 재대여시 추가금을 받는 방안도 논의 중이다.

송태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