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진과 엔젤로보틱스가 하반신 완전마비 장애인을 위한 새로운 웨어러블 로봇인 ‘워크온슈트 F1’을 24일 공개했다.
워크온슈트 F1은 최신 기술을 대거 탑재, 하반신마비 중에서도 중증도가 가장 높은 완전마비(ASIA-A) 레벨을 대상으로 제작했다. 로봇 스스로 서 있다가 착용자가 착용을 원할 경우 마치 휴머노이드 로봇처럼 착용자 앞으로 걸어온다. 착용자가 실수로 로봇을 밀더라도 넘어지지 않고 균형을 잡는 기능도 구현됐다.
특히 휠체어 등에서 앉은 채로 쉽게 착용할 수 있어서 다른 사람이 착용자를 들어서 로봇에 앉혀줘야만 하는 위험하고도 번거로운 절차가 필요 없어졌다. 클러치를 짚은 채 걸어야만 했던 기존 로봇들과 달리 직립 상태에서도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기능도 고도화 됐다.
공경철 KAIST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지난 2015년부터 워크온슈트를 연구해왔다. 2016년 워크온슈트1을 발표했고, 2020년 워크온슈트4를 발표하면서 로봇의 보행속도를 비장애인의 정상 보행속도와 맞먹는 시속 3.2㎞까지 끌어올렸다.
연구팀은 세계 유수의 웨어러블 로봇 개발사들이 모두 ‘앞으로 걷기’에만 집중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걷기에 모든 기능을 집중하면 앉기, 옆으로 걷기, 수그리기 등 다양한 동작이 필요한 일상생활에서 로봇을 제대로 활용할 수 없다. 무엇보다 웨어러블 로봇을 착용하기 위해 타인의 도움을 반드시 받아야 한다는 근본적인 문제를 안고 있었다. 연구팀은 ‘장애인들이 타인의 도움 없이 일상에서 쉽게 착용할 수 있는 로봇을 만들자’는 신념으로 워크온슈트 F1을 개발했다.
공 교수는 “워크온슈트는 장애인을 위한 웨어러블 로봇 기술의 결정체”라며 “웨어러블 로봇은 10~20년 후의 꿈이 아닌 이제 동네 재활병원에 가면 찾을 수 있을 정도로 현실적인 로봇”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27일 스위스에서 열리는 장애극복 사이보그 올림픽인 ‘제3회 사이배슬론’ 대회에 워크온슈트 F1을 출품한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