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트랜스젠더” 美 청소년 비율 2배 급증

입력 2024-10-24 03:05
동성애를 옹호하는 퀴어 행사 참가자들이 2019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행사에서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AP연합뉴스

미국 대학생 A씨는 지난해 남성과 여성을 제외한 ‘제3의 성’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학기 도중 강의 수강을 철회해야 했다. 담당 교수는 “세상에 수많은 성이 있다. 너는 수업 들을 자격이 없다”며 수업 도중 A씨를 쫓아낸 것이다.

김재천 서강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23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미국은 기독교와 전통적 가정의 가치가 중요하게 여겨지는 나라지만, 젠더 이데올로기가 주류화되면서 이런 가치가 흔들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점점 심각해지는 청소년의 성별 혼란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미국사회를 뒤흔들고 있다. 캘리포니아주를 비롯한 일부 주에서는 미성년자가 부모의 동의 없이 성전환 수술을 받을 수 있다. 부모는 관련 치료를 받는 것조차 법적으로 관여할 수 없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청소년 중 스스로 트랜스젠더라고 밝힌 비율은 3.3%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도(1.4%)보다 2배 넘게 증가한 수치다. 성별 혼란을 겪는 비율도 2.2%를 차지했다. 지난 10년간 미국 청소년 사이에서는 트랜스젠더로 자아를 정체화하는 비율이 급증했다. 미국 심리학협회 전문가들은 해당 현상을 또래 압력과 군중심리에 의한 ‘사회적 전염’으로 해석한다. 성전환은 심각한 정신적 부작용을 동반한다. CDC 보고서에 따르면 자신을 트랜스젠더로 규정한 학생은 다른 학생들에 비해 우울증과 절망감을 경험하거나 자살 충동을 느끼는 비율이 높았다.

교계에선 한국에서도 성전환 옹호 교육과 정책이 부모의 교육권을 침해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미국이 직면한 상황이 결코 남의 일이 아니라는 것이다. 길원평 한동대 석좌교수는 “자녀의 성 정체성에 대한 부모 교육을 국가가 간섭해서는 안 된다”면서 “가정과 다음세대를 위협하는 악법을 반드시 저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경진 김수연 기자 ykj@kmib.co.kr